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범부처 국가 융합기술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2.27일자로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 (융합기술에 관한 조작적인 정의) 국제동향에 맞춰 나노(NT), 바이오(BT), 정보통신(ICT), 인지과학(CS) 기술간 융합된 기술과, 기술성격상 융합기술 범주에 포함되는 문화기술(CT), 에너지·환경기술(ET)을 의미 (제1차 국가융합기술발전기본계획, ’09년) (별도의 예산이 반영되는 우주·원자력 기술이나 5G 이동통신·사물인터넷 등 ICT 기술 등은 제외)
‘국가융합기술 발전전략’은 구체적으로 경제성장과 국민행복을 의미하는 5대 기술·미래상(고성장스마트 기술, 미래융합기술, 건강한 삶, 지속가능한 생활, 걱정 없는 안심사회)을 5년내 구현하기 위한 5대 전략, 21개 범부처 추진과제를 담고 있다.
기술개발 관점에서는 과학분야 최상위 계획인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8월)의 120개 전략기술 가운데 융합기술을 분류하고 국내 기술수준, 5년 후 기술 수준 목표, 세부 기술, R&D 주도 주체 등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융합형콘텐츠, 스마트자동차, 융합서비스로봇, 차세대다기능소재, 건강관리서비스, 유전체정보이용 및 신약개발, 신체기능복원 및 재활, 온실가스 저감 및 관리, 오염물질 제어 및 처리 기술, 신재생에너지, 식량자원보존 및 식품안전성평가, 재난재해예측대응
5대 기술·미래상 구현을 위한 5대 전략, 21개 범부처 추진방안은 아래와 같다.
△미래유망 원천기술 개발 및 기술사업화 촉진
- 시장 선점 및 신산업 창출 융합기술, 高위험-高수익형 기술, 旣 연구개발 결과 중 우수기술 등 미래성장을 견인할 융합원천기술 개발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異種기술간 융·복합을 통한 신기술·신제품 등 신성장 동력 창출
- 미래戰 대비를 위한 융합기술 개발을 위해, 民軍 겸용기술 뿐 아니라 민간 우위 기술의 군용 활용으로 협력 확대
- 단기간 개발·사업화하고 10년 內 관련 신산업 창출을 도모하는 ‘신산업 창조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
- R&D 전문관리기관의 기능 강화, 기술컨설팅 지원 확대, 인큐베이팅 R&D 확대 등 기술사업화 역량 확보를 위한 지원 강화
- 농수축산업, 관광 등 기존 산업에 융합기술을 접목하여 생산업 향상 및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융합기술연구 본격 추진
- ‘창조경제 포털’ 등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형 R&D 과제를 발굴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기술 콘테스트’(가칭)을 개최하여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 유도
- 사회적 약자나 질병·물부족 등 개도국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개발 확대
- 온실가스, 황사, 미세먼지, 적조, 나노안전성 연구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공동연구를 강화
- 기술개발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관련 법·제도·인프라의 일괄 개선 추진
△인문학과 과학기술과의 융합 확대
-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인간관점(감정·행동 등)을 반영한 창의적 융합기술개발 지원
* 인문학을 활용한 과학기술의 발전(인문학 for 과학기술), 과학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발전(인문학 발전 by 과학기술)
- 경제·인문사회 분야 출연(연)과 과학기술분야(기초·산업) 출연(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융합 연구과제 추진
- 나노, 바이오 등 대표적 융합기술이 안전성, 생명존엄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융합기술영향평가제도를 도입
- 과제 기획·평가 등에 인문·예술 등의 전문가 참여를 확대하고, 인문학과 과학 전문가가 공동 참여하는 협동연구 및 협력체계 활성화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 향후 5년간(‘14~’18년) 4만 6천명 수준의 융합기술 R&D 인력 부족 해소를 위해 융합인력을 집중 육성
- 융합인재교육(STEAM), 미래형 과학교실 설립, 융합영재교육원 및 융합영재고 신설 등을 통해 미래 융합인력을 양성
- 비즈니스 마인드를 가진 과학기술 전문가를 집중 양성하고, 새로운 융합트렌드에 대응하는 융합인력 재교육 강화
△융합 인프라 고도화
- R&D 역할 분담, 공동 추진 등 부처간 융합 관련 상시 협의체를 운영하고, 융합기술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 나노팹 개선방안 수립 등 융합연구 인프라를 지속 보완·개선
- ‘융합연구정책센터(KIST)'를 융합정책을 선도하고 범부처 협의회를 지원하는 융합연구 싱크탱크(think tank)를 육성·지원
(미래창조과학부, 201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