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뜨거웠던 우리의 신촌, 노래로 만난다

아침 이슬·그날이 오면 등 시대를 바꾼 노래 소환

버스킹·영상 활용헤 거리 공연 온 듯 즐거움 선사

신촌은 언제나 젊고 뜨겁다. 연세대, 이화여대, 서강대를 끼고 대학촌이 형성된 신촌은 저항과 도전이 넘실댄다. 학생운동의 중심이었고, 새로운 문화를 성장시키는 요람이었던 만큼 음악적 자양분도 풍부했다. 음악다방과 락카페, 라이브 까페, 소극장, 음반 가게 등 수많은 음악 아지트는 들국화, 신촌블루스, 김현식, 유재하, 무한궤도와 같은 걸출한 음악인들을 낳았다. 청춘의 사랑과 고민이 담긴 노래들은 신촌을 거쳐 시대를 울리는 노래가 됐다.

신촌의 음악 속에서 이 지역의 역사적 가치를 돌아보는 특별한 공연이 마련됐다. 노래 영상극 ‘신촌역과 이대역 사이’(연출 이혜원, 작 장유정)가 23일과 24일 오후 7시 30분 신촌 파랑고래(창천 문화공원)에서 공연된다.

‘신촌역과 이대역 사이’는 1960년대부터 학생과 서민 주거지로 변모하며 교통 중심지로 떠올랐던 신촌을 배경으로 40대 삼촌 ‘우강’과 20대 대학생 ‘자주’ 이야기를 음악과 영상으로 표현한다. 1987년 연대 앞 2016년 이대 강당 등 청년 정신을 상징하는 풍경은 세대를 잇는 통로가 된다. 여기에 버스킹과 영상을 활용해 거리 공연 특유의 생생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아침 이슬’ ‘그날이 오면’ ‘다시 만난 세계’까지 시대를 울린

공연은 전체관람가이며 전석 무료다. 플레이티켓을 통해 예약이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신촌, 파랑고래’나 이 작품을 기획·제작한 사회적기업 ‘명랑캠페인’ 공식 페이스북과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
거리에서 일터로… 서울시,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자립 토대 놓는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그냥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자리’입니다” 서울시 동부병원 응급실 보조로 일하는 강 모 씨(65세)는 사업에 실패하고 가족과 헤어진 뒤로 노숙 생활을 하다가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재기에 성공했다. 강 씨는 그동안 받았던 따뜻한 응원과 지원을 되갚는단 마음으로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에 3년째 정기후원하고 있다.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2025년도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 지원에 들어간다. 시는 공동작업장, 공공일자리, 민간 일자리 등 올해 1,860개 일자리를 지원하고 신용회복, 직무역량 강화, 생애설계 컨설팅 등을 통해 단단한 자활·자립의 토대를 놓아준다는 계획이다.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는 초기에 일하는 습관과 의지 형성을 돕는 공동작업장에서 시작해 다음 단계인 공공일자리 시간제에서 전일제로, 최종적으로는 민간 일자리(경비·서비스직 등)로의 진입을 목표로 단계적 지원된다. 공동작업장에서는 쇼핑백 접기·장난감 조립 등 하루 4시간 내외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시간제 공공일자리로 넘어가면 하루 5시간 씩 환경 정비·급식 보조 등 근로 능력을 높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