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정읍시가 올해 복지분야에 603억원을 집중 투자하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도시 구현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소외계층 보호부터 자활 지원, 의료급여 강화, 국가유공자 예우까지 세심한 정책을 추진하며 지역사회 전반의 복지안전망을 촘촘히 다지고 있다.
더 넓어진 기초생활보장…탈락가구까지 꼼꼼히 챙긴다
올해는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범위가 크게 확대됐다. 기준중위소득이 전년 대비 6.42% 올라 4인가구 생계급여 지원액이 월 183만 3572원에서 195만 1287원으로 인상됐다.
특히 자동차 소유 기준은 2000cc 이하, 500만원 미만으로 완화됐으며 부양의무자 기준 역시 연소득 1억 3000만원, 재산 12억원 미만으로 대폭 확대됐다. 덕분에 복지 사각지대에서 어려움을 겪던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한편 수급 탈락 가구는 지방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과정을 거쳐 긴급복지와 민간자원 등 다양한 연계 체계로 보호한다.
시민이 함께 만드는 빈틈없는 복지안전망… 위기가구 선제적 발굴 강화
복지 위기가구 발굴에 시민들의 참여가 빛을 발하고 있다. 정읍시는 이·통장, 생활지원사, 시설종사자 등 시민 1419명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해 촘촘한 복지망을 구축했다.
지난해만 밑반찬 지원, 주거환경 개선 등 총 932건의 서비스에 6억 1000만원을 지원했으며 긴급한 생활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2199세대에는 18억 3000만원의 긴급지원금을 투입했다. 더불어 ‘행복나눔공유냉장고’를 내장상동 등 4개 동에서 운영하며, 총 4억 9000만원 상당의 기부금을 모아 6만 3729세대에 나눔의 온정을 전했다.
일자리 창출과 자립 지원으로 저소득층 탈빈곤 이끈다
일자리 창출은 저소득층의 자립 지원에서 핵심 전략이다. 이에 시가 직접 수행하는 자활근로사업에 4억원, 정읍지역자활센터가 주관하는 자활근로사업단에 23억원을 투입해 세탁, 세차, 카페 등 12개 사업단에서 126명이 일하고 있다.
또한 청년들의 경제적 독립을 돕는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자산형성사업에 4억원을 들여 282명의 청년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영유아 발달지원부터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장애인 안마서비스 등 총 17개 분야의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에 18억 9000만원을 지원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를 촘촘히 제공하고 있다.
의료급여 서비스 강화…의료사각지대 제로화 도전
저소득층 의료비 부담은 이제 정읍시의 맞춤형 의료급여 서비스로 한결 가벼워졌다. 올해 총 32억원을 투입해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의 의료비를 지원한다.
의료급여 1종 수급자는 병·의원 진료 시 1000~2000원, 약국 이용 시 약제비 500원만 부담하면 된다. 2종 수급자 역시 최대 15% 이내에서만 본인이 부담하게 된다. 본인부담금 보상제도와 현금급여 지원, 상한제 등 다양한 지원정책도 병행해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국가유공자 예우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강화로 복지서비스 질 높여
나라를 위해 헌신한 국가유공자와 복지 현장에서 땀 흘리는 사회복지 종사자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올해 국가유공자에게 지급하는 호국보훈수당을 2만원 인상했으며, 도내 유일하게 추진하는 국가유공자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25가구의 주거시설을 개선한다.
또한 국가유공자 1800명에게 연간 27억원의 호국보훈수당을 지원하고, 사망위로금도 제공한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게는 명절마다 정읍사랑상품권 복지수당을 지급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사 필수 보수교육 비용 전액 지원, 국내 연수 지원, 상해보험 가입 지원까지 다각적으로 처우를 개선하고 있다. 특히 상해보험은 2021년 이후 현재까지 총 63건에 4300만원을 지급해 종사자 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자원봉사 활성화로 시민과 함께 따뜻한 공동체 만든다
이웃을 돕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정읍시의 복지 공동체 실현을 앞당기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4만 61명의 자원봉사자가 집수리, 청소 등 생활 밀착형 봉사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시는 올해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5억 7000만원을 들여 자원봉사센터 운영과 봉사자 상해보험 가입, 우수봉사자 표창 등을 지원한다. 특히 매년 개최되는 ‘재능나눔축제’를 통해 나눔문화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학수 시장은 “복지 사각지대·위기가구에 대해 지속적인 발굴과 함께 적극적 지원으로 어려움에 처한 소외계층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복지서비스의 쳬계적 지원을 통해 각계각층의 모든 시민이 골고루 원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