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국내 도시농업 선구자 가든프로젝트, 70년 전통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와 MOU 체결

국내 도시농업 선구자 가든프로젝트, 70년 전통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와 MOU 체결


 


국내 유일의 조경 및 도시농업분야 사회적기업 ()가든프로젝트(대표 박경복)가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교장 김병순)와 산·학 교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지난 3, 가든프로젝트 회의실에서 양측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체결된 협약의 주요목적은 향후 우리나라 농업 발전과 후계 농업인력 양성이며, 주요사업으로는 조경에 관한 특강 및 산학겸임교사 요청 시 파견, WPL(현장실습교육) 실습교육장 제공 및 운영, 영농 희망 학생들을 위한 멘토 활동, 산업체 현장 실습장 제공 및 운영 등이다.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에서는 1945년 개교한 70년 전통의 농업고등학교로, 2015년도부터 온형근선생님의 지도하에 고등학교 조경교육을 위한 가든프로젝트(http://cafe.daum.net/hwa-o)를 운영 중인데, 이를 통해 조경의 역사, 조경설계, 조경시공 및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있다.


 


박경복 대표는 조경분야의 초기 교육기관인 특성화 고교와 연계하여 취업과 창업을 위한 현장적응 능력을 배가시키는데 이번 협약이 중요한 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학교는 현장에 필요한 우수한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기업은 기업에 필요한 실무능력을 갖춘 맞춤형 인재를 공급받음으로써 교육, 농업, 조경, 산림분야 산업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고 있다.


 


가든프로젝트는 현재 전국 순회 프랜차이즈 창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박경복 대표는 그 배경을 국내 조경 및 산림분야는 전 국민에게 골고루 제공되어져야 하는 사회서비스분야이므로, 이에 적합한 사회적 경제시스템인 소셜-프랜차이즈를 통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 자연환경 회복, 지역 공동체 복원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라며 여기에 맞춤형인재인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한 우수한 인재들이 지역을 거점으로 활동하면 조경 및 산림분야의 환경복지는 사회적경제시스템과 융합하여 훌륭한 창조경제모델로 정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
거리에서 일터로… 서울시,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자립 토대 놓는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그냥 일자리가 아니라 ‘사람을 살리는 일자리’입니다” 서울시 동부병원 응급실 보조로 일하는 강 모 씨(65세)는 사업에 실패하고 가족과 헤어진 뒤로 노숙 생활을 하다가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로 재기에 성공했다. 강 씨는 그동안 받았던 따뜻한 응원과 지원을 되갚는단 마음으로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에 3년째 정기후원하고 있다.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2025년도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 지원에 들어간다. 시는 공동작업장, 공공일자리, 민간 일자리 등 올해 1,860개 일자리를 지원하고 신용회복, 직무역량 강화, 생애설계 컨설팅 등을 통해 단단한 자활·자립의 토대를 놓아준다는 계획이다.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는 초기에 일하는 습관과 의지 형성을 돕는 공동작업장에서 시작해 다음 단계인 공공일자리 시간제에서 전일제로, 최종적으로는 민간 일자리(경비·서비스직 등)로의 진입을 목표로 단계적 지원된다. 공동작업장에서는 쇼핑백 접기·장난감 조립 등 하루 4시간 내외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시간제 공공일자리로 넘어가면 하루 5시간 씩 환경 정비·급식 보조 등 근로 능력을 높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