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충남 마을공동체 컨퍼런스
지난 11일 충남 천안NGO센터에서 2014 충남 마을공동채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이사장 정윤기)와 천안NGO센터(운영위원장 김성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마을살이, 그 참을 수 없는 즐거움’이라는 부제로 진행되었다.
도시형 마을만들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열린 이 날 행사에는 아산시에 위치한 자작나무라는 대안학교 친구들과 학부모들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행사의 시작은 ‘도시에 마을의 꽃이 피어날 수 있을까’를 주제로 서울시마을기업사업단의 김일영 단장의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흐름에 대해 주제 강연이 있었다.
첫 번째 섹션은 ‘도시에서 공동체로 살아가는 방법’을 주제로 천안NGO센터의 강윤정 사무국장이 진행했다.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살기좋은 아파트 만들기 – 변영수 소장(노원구 아파트문화공동채연구소) , 작은 도서관과 대전 마을어린이 도서관 – 최순예 사무국장(대전 마을어린이도서관협의회), 함께 돌보고 서로를 돌보는 공동육아 사회적 확산을 위한 방안 – 이현숙 돌봄사업팀장(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및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아산YMCA 박진용 사무총장이 진행하고, ‘순환과 공생의 지역살림’이라는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대전 품앗이생활협동조합 이계석 이사장의 순환과 공생의 지역살림, 박종범 농촌기획자의 농사펀드 사례발표, 공생공소 배연근 대표의 충남 로컬푸드 사례발표 및 종합 토론이 이어졌다.
사회관계망의 단절, 복지의 비효율성 등으로 각박한 도시의 삶의 대안으로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천안시는 제4회 민관합동워크숍 5대 의제 중 지역공동체 중심의 마을기업 육성의지를 밝혔다. 아산시 또한 사회 양극화와 고용불안등의 문제해결 대안으로 사회적경제과를 신설하였으며 아산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등 공동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도시형 마을기업과 마을공동체의 다양한 사례를 충남에 접목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진행되었다.
컨퍼런스에 이어 17일에는 ‘마을공동체 마실가기-생생한 현장을 둘러 볼 수 있는 대전 원도심 탐방’이라는 대전 마을공동체 견학이 실시되었다, 천안시청에서 출발해 공정여행 사회적기업 ‘공감만세’, 아시안푸드 음식점 ‘아엠아시아’, 전 충남도청, 과일가게 ‘사과나무’, 사회적 커뮤니티 ‘렛츠’, 게스트하우스 ‘산호여인숙’, 대전지역잡지발행기업 ‘토마토’ 등 대전 원도심을 둘러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신현진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