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수원 24.5℃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구름조금제주 18.9℃
  • 맑음천안 24.9℃
  • 맑음경주시 28.3℃
기상청 제공

2014년 광역·지역특화형 자활사업 선정·지원 계획

취약계층 자립지원을 위한 우수 자활사업의 개발 유도를 위하여 '14년「광역·지역특화형 자활사업」을 공모·선정하여 지원하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고 바랍니다.

<광역·지역특화형 자활사업 개요>



○ (개념) 새로운 사업아이템 또는 사업추진 방식의 특화로 자활사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광역단위 또는 지역 여건에 특화된 자활사업으로 사회적경제영역**과의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한 진행
* 자활사업 성과 : 자활성공률 제고, 지역복지 수준 및 자활사업 이미지 개선 등
** 사회적경제영역 : 자활기업,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
○ (사업추진주체) 시․도, 광역자활센터, 시․군․구, 지역자활센터,사회복지 시설, 사회적협동
조합, 사회적기업 등



○ (사업기간) ’14년 4월 ~ ’14년 12월
○ (지원 규모) 사업규모에 따라 국비기준 1억~10억원 지원(12개월 기준)
※ 사업완료 후 평가를 실시하여 계속 지원여부 결정



○ (지원 방식) 사업 내용에 따라 차등 지원
- 자활사업 참여자의 취·창업에 효과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참여자 인건비와 사업비 비율을
시장진입형 자활근로 사업단 비율(7:3) 적용
- 지역사회 서비스제공을 통한 지역사회 복지수준 제고 및 자활사업 이미지 개선에 효과적인
사업 유형은 참여자 인건비와 사업비 비율을 사회서비스형 자활근로 사업단 비율(8:2) 적용
※ 승인시 사업단 운영 초기 6개월 간 인건비와 사업비 비율 5:5로 지원 가능



○ (지원 조건) 국비보조율 : 자활사업(자활근로)과 동일
- 서울 : 40~60%, 지방 70~90%





<공모·선정>




○ (공모) ’14.3.17. ~ 4.4.(19일간)



○ (신청) 시․도에서 일괄 취합하여 우리부에 신청



- 시·도에서는 시·도 자체 사업계획 또는 시·군·구 사업을 검토하여 보건복지부(자립지원과)
에 신청
- 시‧군‧구에서는 지역 내 공모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영역의 사업 참여를 독려하고 선정
시 위탁계약을 통한 안정적인 운영 지원
※ 지자체별 홈페이지 팝업창 및 공지 등을 통한 홍보로 우수 사업 발굴 요청
- 신청시 사업 추진 필요성 및 사업내용, 사업추진에 따른 효과성 등을 붙임 양식(사업계획서)
에 따라 기재




○ (선정) 보건복지부는 시도에서 응모한 자활근로사업 중 사업 효과성 및 추진 가능성 등을
심사하여 선정
※ 2013년 Best자활기업과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한 신청시 5점 가점 부여
- 사업 선정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심사위원회 구성·운영
/보건복지부, 중앙자활센터,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및 외부전문가



숭의종합사회복지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시니어 1기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숭의종합사회복지관은 지난 3월 12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4월 30일까지 진행된 ‘스마트시니어 1기’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저소득 디지털 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키오스크 활용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 ‘스마트시니어’는 1대1 또는 2대1 맞춤형 교육 방식으로 봉사자와 어르신이 함께하는 1∙3세대통합 프로그램이다. 총 11명의 어르신과 6명의 봉사자가 참여한 가운데, ▲스마트폰 기본 설정과 유튜브 활용 ▲카카오톡 프로필 꾸미기 ▲카카오맵 활용 등 3회의 스마트폰 교육과 ▲카페·패스트푸드 키오스크 이해 및 실습 등 2회의 키오스크 이론 교육, ▲현장 실습 3회가 진행됐다. 교육 이후에는 실제로 카페, 무인상점, 패스트푸드점을 직접 방문해 스스로 키오스크를 이용해 주문·결제하는 실습 활동이 이뤄졌으며, 참여 어르신들의 높은 만족도와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냈다. 한 참여 어르신은 “가족들에게 직접 문자를 보낼 수 있어서 너무 행복하다”고 전했고, 또 다른 어르신은 “매주 카페 모임에서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워 부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