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6 (일)

  • 맑음춘천 7.8℃
  • 맑음서울 7.4℃
  • 맑음인천 5.2℃
  • 맑음원주 7.5℃
  • 맑음수원 7.4℃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10.1℃
  • 맑음포항 12.3℃
  • 맑음군산 6.9℃
  • 맑음대구 12.0℃
  • 맑음전주 8.7℃
  • 맑음울산 11.9℃
  • 맑음창원 12.4℃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목포 8.5℃
  • 맑음여수 11.9℃
  • 맑음제주 13.0℃
  • 맑음천안 8.5℃
  • 맑음경주시 11.9℃
기상청 제공

’24년 수출 최고치 경신, 충북 농식품 세계를 날다!

수출액 7억 달러, 역대 최고액, ’23년 대비 22.4% 큰 폭 상승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황인규 기자 | 충북도는 23일 지난해 농식품 수출액이 전년 대비 22.4% 증가한 7억 달러를 돌파하며 수출 목표인 6억 달러를 크게 상회하여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물류비 지원 폐지, 여기에 기후변화에 따른 작황 부진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23년 실적 대비 22.4% 상승이라는 높은 성장을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과자·커피·코코아·소스 등 가공식품류가 17.6% 증가(전체의 82% 점유), 김치·인삼·과실·채소류 등의 신선류가 11.5% 증가(전체의 12% 점유), 김 등 수산류가 42.3%(전체의 5.7% 점유) 증가했는데, 각 분류 내 거의 대부분의 품목이 증가했다는 점이 상당히 고무적이다.

 

과자·커피·코코아 등 전통적인 우리 도의 강세 품목들이 수출을 견인했고, 여기에 과실주스 등 음료류가 45,634천 달러로 전년 대비 122%가 증가하는 등 전력을 더했다.

 

또한, 음성군 햇사레 복숭아는 인도네시아로, 옥천과 음성의 포도(샤인머스켓)는 각각 베트남, 대만으로 첫 수출의 물꼬를 텄고, 영동 포도 수출량도 대폭 증가하는 등 신선과실류 수출액이 14,812천 달러로 전년 대비 40%가 증가했다.

 

최근 쌀 소비촉진 사업은 농식품 수출에서도 두드러졌는데, 청주시의 쌀 공동브랜드 ‘청원생명쌀’은 호주로 첫 수출길에 올랐고, 보은 ‘결초보은쌀’은 네덜란드로, 진천 ‘생거진천쌀’은 뉴질랜드와 호주로 수출되는 등 쌀 총수출액은 1,059천 달러로, 무려 387%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작년 3월 충북도가 태국에 농식품상설판매장을 설치한 것을 발판으로 청원생명쌀과자가 태국으로 첫 수출을 시작하는 등 쌀 가공품도 수출에 힘을 보탰다.

 

김 수출 또한 눈에 띈다. 작년 김 수출액은 36,622천 달러로 전년 대비 75% 증가했는데, 바다가 없는 충북에서 김이 충북 전체 수출액의 약 5.2%를 차지하는 성과를 달성하며 새로운 수출 효자 품목으로 떠올랐다.

 

K-푸드의 대표주자인 김치 역시 21,149천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충북 김치는 미국, 일본, 독일, 호주, 베트남 등 다양한 국가로 수출하고 있는데, 특히 작년에는 농가, 김치 제조업체, 소비자의 상생을 상징하는 충북 김치 공동브랜드 ‘어쩌다 못난이 김치’가 네덜란드로 수출되는 등 유럽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다.

 

전 세계적인 경제 불안과 불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K-푸드의 인기는 지금도 진행형으로, 특히 충북은 전국 수출 증가 평균 7%인 가운데 22.4%라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크게 선전한 한 해로 평가된다.

 

충북도 관계자는 “지난해 농식품 수출 성과는 우리도 농식품기업의 수출 역량이 많이 높아진 결과라고 생각한다”면서, “농식품 수출물류비 지원도 국제협약으로 중단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지만, 그간 충북도가 지원하는 수출지원 사업들이 기업의 수출 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앞으로도 농식품 수출 증가를 위한 해외 마케팅 사업과 더불어, 지속적인 수출기업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충청북도는 ‘2025년 농식품 수출진흥시책 종합계획’을 수립, 올해 농식품 수출목표액을 지난해보다 33% 상향된 8억 달러로 설정하고, 도내 농식품 기업 수출지원을 위해 15개 사업에 약 44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할 계획이다.

 

사업 내용 확인 및 참가 신청은 충북 중소중견기업 글로벌비지니스 지원 전용 홈페이지인 ‘충북 글로벌마케팅 시스템’에서 할 수 있고, 포털사이트 검색창에서 ‘CBGMS’를 입력하고 접속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