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마을기업의 설립 취지는 무엇인가요?
A: 마을공동체 복원과 지역발전 그리고 100세 시대 Senior 일자리 창출
Q. 마을기업의 규모와 특징을 소개해 주세요.
A.마을주민 26명이 조합결성하여 지역특산물을 재배 가공 유통 판매
Q. 어떤 분들을 대상으로, 어떤 서비스(상품)을 제공하고 있나요?
A.서울 및 수도권 2200만 소비자 대상 유기농 상품과 예술인 작품 공급
Q. 마을기업이 중시하는 가치는 무엇인가요?
A.마을공동체 복원으로 마을발전, 100세 시대 농촌 고령화시대 시니어 일자리 창출
Q. 마을업의 사회공헌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나요?
A.지역발전으로 삶의질을 향상시키고 마을공동체를 복원하며 소외계층과 함께하는 행복한 사회구축하고 마을에서 발생하는 수익 일부를 사회환원하는 사업(시니어 대상)
Q. 현재 추진 중이거나 추진할 예정인 사업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A.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수리부엉이가 서식하고 있는 마을로 북한강 청정지역의 환경을 기반으로 한 유기농 재배와 마을 주민 중 예술인이 많이 거주하는 마을특성으로 마을을 체험마을로 육성하여 2200만 수도권 배후 소비자를 상대로 마을환경을 관광마을로 구축하여 마을사람들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 발전에 주력
Q. 마을기업을 운영하면서 겪거나 느낀 어려움, 문제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초기 마을육성 과정에서 공동체 복원 및 갈등문제로 홍역을 치른 경험이 있으며 마을기업 사업에 수익사업 개발에 한 개로 어려움이 많았으며 제품 생산해도 유통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음
Q. 마을기업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에게 조언을 하신다면?
A. 마을기업 초기 단계에서 마을전체 주민을 상대로 할 경우 심각한 갈등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기에는 핵심인원 몇 명만 참여시켜 수익이 발생하고 재정상태가 호전될 때 점차적으로 마을사람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중간지원조직의 활용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경험함
Q. 마지막으로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미래에 대한 비전이나 포부 등)
A.경제환경의 어려움으로 청년실업증가와 100세시대 시니어 문제가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그 대안으로 사회적경제와 마을만들기 사업이 부각되고 있으나 초기 접근에서 자금문제와 공동체 복원 그리고 민관의 협력문제등이 원활치 못하고 형식에 치우져 이어지는 행정의 문제점들이 마을만들기에 걸림돌로 부각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