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맑음춘천 18.5℃
  • 구름많음서울 18.3℃
  • 맑음인천 15.7℃
  • 맑음원주 20.2℃
  • 구름많음수원 17.3℃
  • 맑음청주 20.7℃
  • 구름많음대전 20.8℃
  • 구름많음포항 19.4℃
  • 구름조금군산 19.1℃
  • 구름많음대구 17.0℃
  • 구름많음전주 20.8℃
  • 구름많음울산 18.7℃
  • 구름많음창원 17.5℃
  • 구름많음광주 18.1℃
  • 흐림부산 17.3℃
  • 구름많음목포 16.6℃
  • 안개여수 15.7℃
  • 흐림제주 18.5℃
  • 맑음천안 20.0℃
  • 구름많음경주시 15.8℃
기상청 제공

사단법인 캠프. 글로벌케어-글로벌호프, [KOICA 지원 통해 필리핀 취약계층 코로나19 긴급 대응]

사단법인 캠프. 글로벌케어-글로벌호프, [KOICA 지원 통해 필리핀 취약계층 코로나19 긴급 대응]

필리핀에서 활동하는 국제개발협력 비정부단체(NGO) 캠프, 글로벌케어, 글로벌호프가 우리 정부의 ‘다 함께 안전한 세상을 위한 개발협력구상(ODA Korea: Building Trust)’의 하나로 빈민 지역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긴급 지원을 12월 11일 진행했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6700만명을 넘었다. 필리핀도 약 44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확산세가 꺾이지 않자 두테르테 대통령은 국가 재난 사태를 2021년 9월까지 연장했다. 이번 사업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ABC 프로그램 추진 전략을 바탕으로 필리핀 취약계층을 위한 위생 키트(면 마스크, 손 소독제), 건강 키트(쌀, 부식), 방역 키트(페이스 쉴드, 방호복, 비접촉식 체온계 등) 배부, SNS 채널을 통한 감염병 예방 교육 및 정보 제공, 감염병 대응 온라인 연대 시스템 구축 사업 등을 중심으로 수행됐다.

KOICA ABC 프로그램은 Action on fragility(보건 의료 취약국 지원), Building capacity(개발도상국 감염병 관리 역량 강화), Comprehensive cooperation(한국 경험 활용 글로벌 연대 강화)의 앞글자를 딴 지원 프로그램이다.

필리핀 중부 지역은 사단법인 캠프(대표 이철용)가 마닐라 빈민 지역 5000가구를 대상으로 위생 키트와 건강 키트를 배분했다. 마닐라, 불라칸 지역 공공 병원 10곳에는 방호복, 페이스 쉴드, 장갑 등 500개의 방호 키트를 전달했다.또한 글로벌케어(대표 박용준)는 남부 타클로반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취약계층 5000가구에 긴급 식량 키트 및 위생 물품을 지원했으며, 글로벌호프(대표 조용중)는 필리핀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저소득계층 7000가구에 코로나19 극복에 대한 희망을 나누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필리핀 한국 NGO 네트워크 사공세현 회장(글로벌케어 필리핀 지부장)은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필리핀 내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 KOICA 지원을 통해 필리핀 취약계층 코로나19 위기 대응 사업을 수행하며 주민의 안정과 회복을 도울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며 “캠프, 글로벌케어, 글로벌호프와 같은 사업 수행 기관뿐만 아니라 필리핀 NGO 네트워크 회원 단체의 협력과 연대로 사업을 진행해 시민 사회 단체들에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사단법인 캠프는 “가난을 벗어나 함께 살아가는 건강한 세상을 꿈꿉니다”라는 비전으로 필리핀 도시 빈민 지역 타워빌과 소수민족 농촌 소외 지역 딸락에서 일자리, 교육, 보건, 농업, 에너지, 친환경 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자립 마을을 만들어 가는 국제개발협력 비정부단체(NGO)다.

 

황인규 기자 ksen@ksen.co.kr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청년 가구 기준 개선 간담회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이스란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4월 17일 오후 3시 30분 인스파이어 1호점 비즈니스센터 회의실(서울 용산구)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청년 가구 기준에 관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원가정을 나와 생활하는 청년 중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보장 단위인 개별가구로 인정받지 못해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현실과 개선책 등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령에서는 부모와 떨어져 사는 30대 미만인 자녀를 부모와 동일 가구로 간주하고 있어, 원가정을 나온 청년들은 생활이 어려워도 기초생활보장 급여 수급을 위한 개별가구로 인정받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스란 실장은 “가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에 대한 정책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말하면서, “올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청년 가구를 독립된 보장 단위로 인정하는 소득, 연령 등 기준을 검토하고 일부 지역에 모의 적용을 통해 실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