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춘천 6.3℃
  • 박무서울 7.4℃
  • 구름많음인천 7.1℃
  • 구름많음원주 9.4℃
  • 흐림수원 7.9℃
  • 청주 8.1℃
  • 대전 9.6℃
  • 박무안동 8.3℃
  • 구름조금포항 12.8℃
  • 흐림군산 7.9℃
  • 구름많음대구 11.8℃
  • 구름많음전주 9.0℃
  • 구름많음울산 12.0℃
  • 맑음창원 11.5℃
  • 광주 8.7℃
  • 맑음부산 13.6℃
  • 구름많음목포 10.1℃
  • 구름조금여수 11.4℃
  • 흐림제주 12.3℃
  • 흐림천안 7.3℃
  • 맑음경주시 12.4℃
기상청 제공

‘사회적기업 연간 매출 100억’ 한국의 볼로냐 꿈꾸는 아산시

사회적기업 지원예산, 충남 전체 35% 차지

맞춤형 지원체계로 4년 간 가파른 성장세

충청남도 아산시가 ‘한국의 볼로냐’를 꿈꾸며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아산시는 2015년 충남에서 처음으로 ‘사회적경제 전담부서’를 만든 지자체다. 인구는 충남 전체의 15%에 불과하지만 사회적기업 지원예산은 22억원으로 충남 전체의 35%에 이를 정도로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만드는 데 적극적이다.

이같은 아산시의 행보는 이탈리아 볼로냐를 연상케한다. 볼로냐는 인구 40만의 작은 도시지만 이탈리아 국내총생산의 30%를 차지하고 1인당 소득이 4만유로에 달할 정도로 유럽연합에서도 손꼽히는 경제도시다. 볼로냐의 힘은 ‘협동조합’에 있다. 지역기업 10곳 중 6곳이 협동조합으로 캐나다 퀘벡, 스페인 몬드라곤과 함께 사회적경제 3대 메카로 불린다. 협동조합의 성공은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실업률이 3%에 불과하다.

아산시는 볼로냐처럼 지역에 기반한 경제성장 해법을 사회적경제에서 찾았다. 지난 4년 동안 사회적경제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은 40%, 고용은 60% 각각 늘었다. 그 결과 현재 23개 사회적기업에서 연간 1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240명의 근로자 가운데 취약계층이 80명에 달하는 등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아산시의 사회적경제는 양적 성장과 더불어 파급력도 커졌다. 농업·교육·자원재생 등 사회윤리와 청소용역·자전거 관리·도시락 급식 등 공공구매에서 두드러졌던 사회적경제는 소매점·커피숍·태권도장·정육점·교향악단 등 다양한 분야로 퍼져 시민 일상생활에서 만날 수 있게 됐다.

아산시는 사회적경제를 바탕으로 낙후된 도시를 재탄생시키고 사회적경제의 성장단계에 맞춰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사회적경제 조직 간의 연대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미 성매매 우려지역 속칭 장미마을 내 세븐모텔을 리모델링해 ‘아산시어울림경제센터’를 세우고 충남 사회적경제 통합지원기관인 충남사회경제네트워크를 유치해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 사회적경제 제품의 판로를 넓히고 원활한 유통을 돕기 위해 배방 도시재생 지구에 충남 사회적경제 제품 유통지원센터를개소도 준비 중이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