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춘천 14.8℃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흐림원주 15.8℃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안동 16.9℃
  • 포항 18.9℃
  • 흐림군산 20.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창원 20.9℃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맑음목포 22.9℃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기상청 제공

서울특별시교육청, 가족 독서문화 조성 위한 ‘가족 책 만들기’ 전시회 개최

서울특별시교육청, 가족 독서문화 조성 위한 ‘가족 책 만들기’ 전시회 개최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권한대행 설세훈)은 9월 3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서울특별시교육청 본관 1층 서울교육갤러리에서 ‘가족 책 만들기(가족과 학생 공동저자 되기)’ 전시회를 연다. 이 전시회는 올해 새롭게 추진된 가족 독서문화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가족이 함께 책을 만들며 소통과 협력의 장을 마련했다.

 

이번 사업은 기존 학교에서 진행되던 ‘1인 1책 쓰기’ 활동을 가정으로 확대한 것으로, 서울시교육청의 독서·인문 교육과정 체계화 사업의 일환이다. 이 사업은 초·중·고 학생들의 성장 단계에 따라 ‘책이랑 놀기(초등)’, ‘책 쓰기(중등)’, ‘사람책으로 성장하기(고등)’라는 연속적인 독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 습관을 기르고 있다. 2021년부터 시작된 이 교육과정은 매년 많은 학교가 선택하며, 올해는 서울 내 647개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처음 ‘가족 책 만들기’ 사업을 진행하며, 글쓰기와 자가 출판 연수를 통해 참여 가족들을 지원했다. 그 결과, 총 144권의 책이 완성되었고, 이들 중 대부분은 자가 출판 플랫폼을 통해 출간됐다.

 

특히 중학교 여학생과 어머니가 함께 쓴 ‘사춘기 갱년기 타파 프로젝트’와, 가족이 손수 제작한 팝업북 ‘오늘은, 어제의 내일’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교원 대상 디지털 작가학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작품도 함께 전시된다.

 

또한 서울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 심층 쟁점 독서·토론 프로젝트’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112개교 206팀이 참여해 박사 연구자와 함께 독서·토론 활동을 진행했으며, 10월에는 ‘우수 실천사례 발표회’, 11월에는 ‘저자와 함께하는 심층 쟁점 독서·토론 한마당’이 예정되어 있다. 이 두 행사는 현장 참여 기회와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설세훈 서울시교육감 권한대행은 “독서·토론·글쓰기 활동을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로 확대해 학생들이 평생 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이번 가족 책 만들기 활동이 내년에도 계속되길 바라며, 가족들이 직접 참여하는 출판기념회와 사례 나눔 장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정자유스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가 만든 협력의 장 펼쳐
한국사회적경제신문 황인규 기자 |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정자유스센터는 지난 10월 25일 센터 나눔터에서 청소년운영위원회 기관 교류활동을 진행했다. 이번 교류활동에는 정자유스센터, 고촌청소년문화의집, 사우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운영위원회 소속 청소년 20여 명이 참여해, 청소년운영위원회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소통과 협력을 도모했다. 행사는 기관의 청소년위원장 간 교류 협약 체결로 시작됐으며, 세 기관 청소년운영위원회는 정기적인 만남과 공동 활동 추진을 약속했다. 이후 참가 청소년들은 정자유스센터 시설을 라운딩하며 각 기관의 운영 사례와 참여 경험을 공유했다. 이어 ‘청소년 관심 주제’를 바탕으로 팀별 숏폼 영상 제작에 참여하며 협력과 창의성을 발휘했다. 참가한 한 청소년은 “다른 지역 청소년들과 직접 의견을 나누고 같이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이 새롭고 즐거웠다. 처음 모인 만큼 이번 만남을 계기로 다시 한 번 모여 더 많은 교류를 하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정자유스센터 이경주 센터장은 “교류 협약으로 시작된 이번 만남이 청소년 간 신뢰와 협력의 기반이 됐다”며 “앞으로도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지역의 경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