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5 (화)

  • 맑음춘천 13.2℃
  • 황사서울 10.4℃
  • 황사인천 8.1℃
  • 맑음원주 13.6℃
  • 황사수원 9.2℃
  • 맑음청주 14.2℃
  • 구름많음대전 14.1℃
  • 황사포항 24.3℃
  • 구름많음군산 10.4℃
  • 황사대구 22.9℃
  • 황사전주 12.9℃
  • 황사울산 21.2℃
  • 맑음창원 16.2℃
  • 황사광주 15.2℃
  • 맑음부산 14.1℃
  • 황사목포 13.2℃
  • 황사여수 13.9℃
  • 맑음제주 21.4℃
  • 맑음천안 12.3℃
  • 맑음경주시 22.6℃
기상청 제공

서울특별시교육청, 가족 독서문화 조성 위한 ‘가족 책 만들기’ 전시회 개최

서울특별시교육청, 가족 독서문화 조성 위한 ‘가족 책 만들기’ 전시회 개최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권한대행 설세훈)은 9월 3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서울특별시교육청 본관 1층 서울교육갤러리에서 ‘가족 책 만들기(가족과 학생 공동저자 되기)’ 전시회를 연다. 이 전시회는 올해 새롭게 추진된 가족 독서문화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서울가족이 함께 책을 만들며 소통과 협력의 장을 마련했다.

 

이번 사업은 기존 학교에서 진행되던 ‘1인 1책 쓰기’ 활동을 가정으로 확대한 것으로, 서울시교육청의 독서·인문 교육과정 체계화 사업의 일환이다. 이 사업은 초·중·고 학생들의 성장 단계에 따라 ‘책이랑 놀기(초등)’, ‘책 쓰기(중등)’, ‘사람책으로 성장하기(고등)’라는 연속적인 독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독서 습관을 기르고 있다. 2021년부터 시작된 이 교육과정은 매년 많은 학교가 선택하며, 올해는 서울 내 647개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처음 ‘가족 책 만들기’ 사업을 진행하며, 글쓰기와 자가 출판 연수를 통해 참여 가족들을 지원했다. 그 결과, 총 144권의 책이 완성되었고, 이들 중 대부분은 자가 출판 플랫폼을 통해 출간됐다.

 

특히 중학교 여학생과 어머니가 함께 쓴 ‘사춘기 갱년기 타파 프로젝트’와, 가족이 손수 제작한 팝업북 ‘오늘은, 어제의 내일’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교원 대상 디지털 작가학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작품도 함께 전시된다.

 

또한 서울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 심층 쟁점 독서·토론 프로젝트’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112개교 206팀이 참여해 박사 연구자와 함께 독서·토론 활동을 진행했으며, 10월에는 ‘우수 실천사례 발표회’, 11월에는 ‘저자와 함께하는 심층 쟁점 독서·토론 한마당’이 예정되어 있다. 이 두 행사는 현장 참여 기회와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설세훈 서울시교육감 권한대행은 “독서·토론·글쓰기 활동을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로 확대해 학생들이 평생 독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이번 가족 책 만들기 활동이 내년에도 계속되길 바라며, 가족들이 직접 참여하는 출판기념회와 사례 나눔 장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평택북부장애인복지관, 중앙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복지 사각지대 장애 당사자 발굴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평택북부장애인복지관은 3월 25일 중앙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공위원장 허명경, 민간위원장 권오미)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 당사자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평택시 중앙동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장애 당사자를 보다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원활히 지원하고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민·관 협력 공동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해서 추진됐다. 중앙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허명경 공공위원장은 “이번 협약은 민·관 협력을 통해 중앙동 내 장애인 가정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중앙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전했다. 평택북부장애인복지관 유영애 관장은 “지역사회 내 복지 사각지대 장애 당사자의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힘써주시는 중앙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공위원장 허명경, 민간위원장 권오미)에 깊이 감사드린다.”라며,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관내 장애당사자와 가족의 복지증진을 위한 중앙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지속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