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 (금)

  • 맑음춘천 3.3℃
  • 맑음서울 6.3℃
  • 맑음인천 6.9℃
  • 맑음원주 4.2℃
  • 맑음수원 7.3℃
  • 맑음청주 6.8℃
  • 맑음대전 8.8℃
  • 맑음안동 6.2℃
  • 구름조금포항 9.7℃
  • 맑음군산 9.2℃
  • 맑음대구 8.6℃
  • 맑음전주 8.6℃
  • 맑음울산 9.1℃
  • 맑음창원 10.0℃
  • 맑음광주 10.1℃
  • 맑음부산 10.0℃
  • 맑음목포 10.7℃
  • 맑음여수 10.2℃
  • 구름조금제주 14.2℃
  • 맑음천안 6.1℃
  • 맑음경주시 8.9℃
기상청 제공

‘잘 자랐다’ 울산 사회적기업은 순항 중

사회적기업 평균 연매출 8억4000만원…1인당 임금 171만원

3년간 사회적기업 인증률 100%…정규직 고용 비율 90% 넘어

울신지역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고용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017년 한 해 동안 총 36만3363명에게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전체 근로자의 90% 이상이 정규직으로 고용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에 따르면 지난해 4월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사회적기업 68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울산 사회적기업 평균 연 매출은 8억4700만원, 일반 근로자 1인당 월 평균 임금 171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울산지역 사회적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약 576억원으로 기업 1곳당 연평균 매출액은 8억4700만원 규모다.

이들 사회적기업의 총 고용인원은 고용보험 가입 기준 1067명으로 기업당 평균 15.7명의 근로자를 고용했다. 정규직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의 92.3%에 달했음은 물론, 장애인, 고령자,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고용비율도 기업당 64.9%에 기록했다.

월평균 임금은 일반 근로자가 171만원, 취약계층은 131만2000원이며, 일반 근로자 36.1시간, 취약계층 근로자 35.1시간씩 근무했다. 근로기준법과 최저임금법을 준수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울산지역 사회적기업은 총 77곳이다. 전국 사회적기업 중 3.63%를 차지하는 셈이다. 특히 지난 3년간 울산지역에서 사회적기업 인증을 신청한 31곳이 모두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았다.

이 외에 사회적기업의 이전 단계인 예비 사회적기업도 43곳이 현재 활동 중이다. 울산시 지정을 받은 울산형 예비사회적기업은 35곳, 정부부처형(고용노동부·산업통상자원부 등) 예비사회적 기업은 8곳이다.

울산은 조선업 위기로 동구의 실업률이 전국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침체된 모습이다.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고 혁신성장을 이끌 대체산업을 찾기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사회적기업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울산 지역 사회적기업은 인구 대비 수가 높은 편이다. 고용한파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취약계층을 수혜자에서 생산자이자 소비자로 성장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기업 활성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종철 고용노동부 울산지청장은 “사회적기업은 지역의 산업·고용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인 만큼, 대기업들과 공공기관이 사회적기업 창업 지원, 제품 구매 등 지원 활동을 올해에도 활발히 전개해 지역 사회적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