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춘천 5.7℃
  • 박무서울 8.6℃
  • 박무인천 7.9℃
  • 흐림원주 8.3℃
  • 연무수원 9.0℃
  • 흐림청주 8.8℃
  • 흐림대전 9.4℃
  • 흐림안동 7.8℃
  • 구름많음포항 12.9℃
  • 구름많음군산 10.3℃
  • 흐림대구 9.5℃
  • 박무전주 10.3℃
  • 구름많음울산 15.1℃
  • 구름조금창원 15.0℃
  • 구름조금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5.4℃
  • 구름조금목포 11.0℃
  • 구름많음여수 9.7℃
  • 구름많음제주 13.6℃
  • 흐림천안 7.7℃
  • 구름많음경주시 11.1℃
기상청 제공

“고령 재취업자 3명 중 1명은 청소·경비…사회적기업 적극 육성해야”

산업은행 양서영 연구원 고령자 고용의 현황과 시사점보고서 통해 이같이 주장

평균 49.1세 은퇴저생산성 일자리 몰려고령자 빈곤층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65세 이상 고령층의 재취업자는 10명 중 3명은 경비와 청소직 등 저생산성 일자리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만큼, 사회적기업을 육성해 신규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은행 양서영 연구원이 3일 발표한 ‘고령자 고용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고령층의 재취업 직종은 청소·경비가 31%로 가장 많았다.

양 연구원은 2017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에서 직종별 고용보험 신규취득자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 특히 50세 이상 재취업자 중 직전 고용 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 대부분 청소·경비업종에 재취업했다.

양 연구원은 “고령자 일자리는 청소·경비 등 저생산성 일자리에 과다 포진했다”고 지적하면서 그 원인으로 은퇴 전 직업훈련 미비, 고령 인력수요의 일부 업종 편중 등을 꼽았다. 50대 재직자 중 사업자가 지원하는 ‘직업능력 훈련개발’ 프로그램을 받은 비율이 11%에 불과할 정도로 직업훈련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 은퇴연령은 높아진 반면, 주된 일자리에서는 일찍 물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경비 등에 재취업한 인력의 은퇴연령은 남자 72.9세, 여자 73.1세로 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평균 남자 65.3세, 여자 63.6세)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주된 일자리’에서는 평균 49.1세에 조기 퇴직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60대 초반에 은퇴하는 것과 대비된다.

주된 일자리에서 조기 퇴직하고 저생산성 일자리로 재취업을 하면서 65세 이상 빈곤율은 2015년 45.7%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양 연구원은 “점진적 정년연장과 고령자 고용 인센티브 확대로 주된 일자리에서의 근속 기간을 늘리는 한편, 고령자 대상 직업훈련지원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일본·영국 등 주요 선진국들도 정년을 연장하거나 폐지하고 있다. 신규 고령자 일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등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