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교육급여 바우처 현장 접수 운영…온라인 취약 가정 지원 강화
서울특별시교육청이 2025학년도 교육급여 바우처 미신청자 가운데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학생과 가정을 돕기 위해 12월 2일부터 12일까지 한시적 현장 접수를 운영한다. 교육 당국은 “지원 대상 학생이 단 한 명도 누락되지 않도록 촘촘한 행정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교육급여 교육활동지원비는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연 1회 지급된다. 올해 단가는 초등학생 48만7천 원, 중학생 67만9천 원, 고등학생 76만8천 원으로 책정됐다.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되는 만큼 사전에 신청 절차를 거쳐야 한다. 2023학년도부터 현금 지급 제도가 폐지되고 온라인 신청 방식으로 전환됐지만, 일부 가정은 디지털 접근성의 한계로 신청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러한 현실을 반영해 바우처 미신청자에게 개별 문자 안내를 진행하고, 교육지원청 11곳을 포함해 시교육청 본청에서도 현장 접수 창구를 동시에 운영한다. 방문 신청은 만 14세 이상 교육급여 수급학생 본인, 기존 교육급여 신청인, 또는 동일 세대 보호자만 가능하다. 신분증 등 필요한 서류를 갖추면 즉시 신청할 수 있다.
기관별 운영 시간이 다를 수 있어 방문 전 접수처에 유선 확인이 필요하다. 접수 장소와 준비 서류는 서울시교육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비서류도 신청권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동일 세대 보호자는 등본 제출이 필수다.
정근식 교육감은 “온라인 접근성이 낮아 제때 신청하지 못한 가정이 지원에서 배제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현장 접수 기간을 적극 활용하시고, 기간 종료 후에도 온라인 신청은 내년 2월 말까지 가능하므로 꾸준히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려는 교육청의 노력이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