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10만 명 대상 ‘문해력·수리력 진단검사’ 실시
학생 맞춤형 학습 지원 기반 마련…해외 한국학교·부산 학교도 참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과 미래역량 강화를 위해 ‘서울 학생 문해력·수리력 진단검사(S-PLAN)’를 10월 27일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진단검사는 서울 지역 초·중·고등학교를 비롯해 재외한국학교와 부산의 일부 학교까지 총 665교, 약 10만 2천 명의 학생이 참여한다.
문해력과 수리력은 모든 학습의 기초이자 삶의 문제 해결 능력으로 꼽힌다. 문해력은 다양한 글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표현하는 능력을, 수리력은 일상과 학습 속 수학적 사고와 추론, 의사소통 능력을 의미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이 두 영역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학습 기반을 진단해 맞춤형 교육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검사는 교과 융합형, 실제 생활 중심의 문제 해결 문항으로 구성됐다. 지난해보다 26% 증가한 665개 학교가 참여하면서, 문해력·수리력의 중요성에 대한 학교 현장의 인식 확산이 뚜렷해졌다. 특히 중국, 태국, 이집트의 재외한국학교 학생들과 부산의 62개 학교, 1,690명 학생이 참여해 지역과 국경을 넘어선 협력의 장이 마련됐다.
올해 진단은 컴퓨터기반검사(CBT) 방식으로 진행된다. 학교는 10월 27일부터 11월 7일까지 1차, 12월 15일부터 26일까지 2차 중 자율적으로 일정을 선택해 실시할 수 있다. 초등학생은 과목당 40분, 중학생은 45분, 고등학생은 50분씩 문해력Ⅰ·Ⅱ, 수리력Ⅰ·Ⅱ의 4과목을 치른다.
서울시교육청이 자체 개발한 ‘서울 학생 미래 역량 진단 시스템(cbt.sen.go.kr)’을 통해 진행되는 이번 검사는 학생 수준에 맞는 학습 자료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 결과는 12월 중 학생과 학부모에게 제공되며, 각 단계별 성취 수준과 하위 영역별 학습 제언이 포함된다. 학교에는 수업 개선 자료와 교사 연계 자료가 함께 제공될 예정이다.
교육청은 이를 토대로 ▲기초소양교육 지원협의체 운영, ▲문해력·수리력 지도자료 개발, ▲전문가 연수 확대 등 실질적 지원책을 추진한다. 정근식 교육감은 “S-PLAN은 학생 한 명 한 명의 학습 기반을 정확하게 진단해 맞춤형 교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며 “서울교육이 문해력과 수리력을 중심으로 수업과 평가의 혁신을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