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춘천 16.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수원 17.4℃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제주 21.3℃
  • 구름조금천안 17.8℃
  • 구름조금경주시 20.7℃
기상청 제공

교육공무직 파업, 급식 정상 운영률 하락... "임금 인상·복지 개선 요구"

교육공무직 파업, 급식 정상 운영률 하락... "임금 인상·복지 개선 요구"

 

 

2024년 12월 6일,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하루 파업을 진행하며 교육 현장에서 일부 혼란이 발생했다. 이번 파업은 임금 및 수당 인상과 복리후생 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주요 집회는 교육청 본청 정문 앞과 서울 도심 일대에서 열렸다.

 

이번 파업에는 1,757명이 참가해 전체 교육공무직원의 7.27%를 차지했다. 이는 2023년 3월의 1,298명(5.24%) 대비 증가한 수치다. 참가자 중 조리실무사가 1,081명으로 가장 많았고, 돌봄 교실 관련 인력이 48명, 특수교육실무사가 154명, 에듀케어 강사가 47명 포함됐다.

 

파업 영향으로 학교 급식 운영률은 지난해 대비 하락했다. 급식 정상 운영 학교는 전체 1,397교 중 1,153교(82.53%)로, 2023년 3월의 89.53%에 비해 감소했다. 대체 급식으로 빵과 음료를 제공하거나 도시락 지참을 요청한 학교가 227교에 달했고, 학사 일정 조정 등으로 급식을 실시하지 않은 학교도 17곳이었다.

 

그러나 초등돌봄교실과 유치원 방과후 과정, 특수학교 운영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초등돌봄교실은 모든 학교가 정상 운영됐고, 유치원 방과후 과정은 전체 292교 중 99.65%가 정상 운영됐다. 특수학교는 11개교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됐다.

 

교육공무직원 노조의 파업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 11월과 2023년 3월에도 각각 1,382명(5.58%)과 1,298명(5.24%)이 파업에 참가한 바 있다. 이번 파업은 전년 대비 참가자 수가 459명(35%) 증가하며 노조 측의 요구가 더욱 강경해졌음을 보여줬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급식 제공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며 “노조와의 협의를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조는 교육공무직원의 처우 개선이 시급하다며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지속적인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교육공무직, 임금 인상, 복리후생, 차별 철폐, 급식 운영, 돌봄교실, 특수학교, 파업 참가자, 노사 협의.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남양주시 장애인가족에 따뜻한 나눔 실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남양주시는 지난 8일,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가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가족을 위한 후원금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달식은 장애 자녀를 돌보는 장애인가족의 정서적·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달식에는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 배애련 센터장과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 등이 참석해 나눔의 의미를 함께했으며, 후원금은 우리 시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제공기관을 이용해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 장애인 가족의 정서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김민서 대표는“일상에 지친 장애인 가족들에게 작지만 따뜻한 쉼과 위로가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봉사와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애련 남양주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장은 “따뜻한 후원을 해주신 더마음사랑 사회적협동조합 김민서 대표께 감사드리며, 장애인가족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격려가 되는 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서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가족을 위한 따뜻한 후원에 감사드리며, 시에서도 장애인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