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춘천 23.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원주 25.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구름조금안동 25.6℃
  • 흐림포항 22.3℃
  • 맑음군산 25.8℃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흐림창원 24.4℃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목포 24.5℃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기상청 제공

부여군 굿뜨래페이, ‘서민 이용 강화정책’ 충전량↑·골목상권 사용↑

설 명절 앞두고 실시한 ‘월 100만원 최대 10% 인센티브’로 성과 얻었다

 

한국사회적경제 : 시민경제 김인효 기자 | 부여군이 추진하는 전국 유일의 자립형 공동체 순환 지역화폐인 굿뜨래페이의 ‘설 명절 서민 사용자 강화 시책’이 효과를 낳고 있다.


정책이 시행된 지난달 16일 기준으로 충전 인센티브 10%를 지급했던 시기와 비교해 보면 서민 이용 강화정책이 시행된 지난달 16일부터 24일까지의 일반 충전량이 20% 더 늘었다. 소비 및 순환 인센티브도 32% 절감하여 정책목표를 향해 순항중이다.


20% 늘어난 충전량의 주된 사용처는 월 1,000만원 이하의 골목상권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23년 1월 한달간 골목상권의 굿뜨래페이 사용 비중은 2022년 12월의 35%보다 약8%p 늘어난 43%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한편 군은 지난 설 명절을 앞두고 월 충전 인센티브 3%의 대상 한도를 월100만원으로 한시적 상향하고, 소비 및 순환인센티브 대상 금액을 200만원 이내로 수정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골목상권에 월100만원을 사용할 경우 충전인센티브 3%와 소비인센티브 7%를 받아, 10만원의 인센티브를 받는 셈이다.


이와 같은 정책 시행을 위해 군은 자체적으로 2023년 인센티브 예산 53억을 수립했다. 효율적인 예산사용을 위해 기존 월 50만원까지였던 충전 인센티브 대상 한도액을 한시적으로 월 100만원까지 상향했다.


또한 인센티브 예산 효율화와 부정유통 방지를 위해 소비인센티브와 순환인센티브 대상 금액을 월200만원 한도내에서 지급하기로 했다. 이럼으로써 연 4.7억이 절약 가능할 것으로 추산되며, 절약된 예산은 실질적인 서민 소비자 지원 강화에 사용된다.


굿뜨래페이가 우리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있음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군은 굿뜨래페이 순환액이 전체 이용금의 11%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굿뜨래페이는 굿뜨래페이로 결제하면 굿뜨래페이로 정산금을 받고 그대로 타 가맹점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국내 유일 순환식 전자 지역화폐다. 순환인센티브 대상 한도액을 월 200만원으로 제한했음에도 순환비율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화폐 유통량 확장 시키는 등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굿뜨래페이의 활성화를 현장에서 가장 잘 체감하고 있는 가맹점들이 자발적으로 굿뜨래페이를 사용하고 있다. 굿뜨래페이는 카드망이 아닌 자가망을 통해 QR결제와 NFC카드 결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카드결제수수료가 0원이다. 실제 상인들도 홍보효과로 인한 매출증가와 함께 카드결제수수료가 없다는 사실을 강점으로 뽑기도 했다.


굿뜨래페이 사용자들의 인식변화도 긍정적이다. 충전인센티브 3%를 받고 전통시장을 포함한 골목상권에서 사용을 하면 소비인센티브 7%를 더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인과 소비자간 상생의 효과로 받아들이고 있다.


굿뜨래페이 앱 사용은 이미 보편화됐다. QR 결제 비중이 55%로 NFC카드결제 45%보다 10%p 많다는 점에서 지역 특성상 고령 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굿뜨래페이 앱이 소비자들 사이에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굿뜨래페이가 서민경제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여러 객관적 지표로 증명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소비자와 상인 모두가 만족할 만한 굿뜨래페이를 만들어가기 위해 현실적인 정책 구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판교유스센터, 청소년 안전예방교육·목공체험으로 역량 키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황인규 기자 |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판교유스센터가 올해 4월부터 9월까지 청소년 2천7백여 명을 대상으로 안전예방교육과 목공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각각 성남시 내 12개 초·중·고등학교와 7개의 초등학교에서 진행돼, 청소년들의 생명안전 대응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했다. 안전예방교육 ‘골든타임’은 심폐소생술(CPR)과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을 중심으로 운영됐다. 학생들은 실제 위기 상황을 가정한 체험형 교육을 통해 스스로와 친구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됐다. 교육은 119 신고 요령, 응급 상황 시 행동 지침, 심폐소생술 실습, 자동심장충격기 사용법 등으로 구성돼 실질적인 대응 능력 향상에 중점을 뒀다. 특히, 심정지 환자에게 4분 이내 심폐소생술이 이뤄져야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점을 직접 배우며, 조기 대응 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성남미래교육 ‘목공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697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간 진행됐다. 학생들은 실과 교과와 연계해 가구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경험하며 창의성과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