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춘천 16.1℃
  • 흐림서울 16.5℃
  • 박무인천 13.5℃
  • 맑음원주 16.1℃
  • 구름많음수원 14.9℃
  • 맑음청주 17.4℃
  • 맑음대전 17.6℃
  • 맑음포항 18.3℃
  • 맑음군산 16.4℃
  • 박무대구 14.4℃
  • 맑음전주 18.6℃
  • 맑음울산 16.9℃
  • 흐림창원 16.9℃
  • 맑음광주 16.7℃
  • 박무부산 16.2℃
  • 맑음목포 17.2℃
  • 안개여수 14.7℃
  • 맑음제주 22.9℃
  • 맑음천안 17.2℃
  • 맑음경주시 13.5℃
기상청 제공

영화 '366일', 6월 개봉 확정 & 티저 포스터 공개! 주연 아카소 에이지 내한 확정!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은영 기자 | 영화 '366일'이 6월 국내 개봉 확정 소식과 함께 주연배우 아카소 에이지의 내한을 확정했다.[감독: 신조 타케히코 | 출연: 아카소 에이지, 카미시라이시 모카, 나카지마 유토 | 수입: ㈜엔케이컨텐츠 | 공동제공: ㈜에스피오엔터테인먼트코리아 | 배급: ㈜디스테이션]

 

아카소 에이지는 2023년 한국 단독 팬미팅 이후, 2년 만에 한국을 방문해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다.

 

'366일'은 도쿄와 오키나와를 오가며 운명적인 사랑을 한 두 사람의 20년 간의 애틋한 러브 스토리. 일본 개봉 당시 첫주 박스오피스 4위로 포문을 연 '366일'은 점차 입소문을 타고 역주행에 성공하며 개봉 4주 차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 약 250억 원의 흥행 수익을 돌파하는 등 일본 열도에 신드롬을 몰고 왔다.

 

특히 사랑을 경험한 누구라도 공감할 보편적인 감정을 섬세하게 풀어내며 일본을 넘어서 할리우드 영어판 리메이크까지 확정해 더욱 기대감을 높인다.

 

영화 '366일'은 국내 관객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았던 '다만, 널 사랑하고 있어'를 비롯해 '내 첫사랑을 너에게 바친다', '4월은 너의 거짓말' 등을 선보여 온 일본의 로맨스 장인 신조 타케히코 감독이 연출을 맡아 이번에도 섬세하고도 깊은 로맨스를 선사한다.

 

여기에 국내에서도 화제를 모은 [30살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대], 한국 드라마 리메이크작 [그녀는 예뻤다], 영화 '사랑하고 사랑받고 차고 차이고'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인기를 모은 일본의 대세 배우 아카소 에이지와 사랑스러운 모습부터 성숙한 분위기까지 다양한 매력을 발산하는 배우 카미시라이시 모카가 주연을 맡아 가슴 설레는 로맨스를 완성시켰다.

 

또한, 국내 개봉 확정 소식과 함께 청량한 색감과 아름다운 오키나와 해변의 비주얼이 눈길을 사로잡는 티저 포스터를 공개했다.

 

포스터에는 시선은 상대를 향해 있지만, 서로 타이밍이 어긋나 더욱 아련함을 자아내는 연인의 모습이 담겼다.

 

여기에 ‘너의 웃는 모습을 계속 보고 싶었어’, ‘당신과 계속 같은 풍경을 보고 싶었어요’라는 서로를 향한 진심이 느껴지는 카피가 더해져 두 사람이 선보일 깊고도 진한 러브 스토리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일본의 대세 배우 아카소 에이지 내한 소식으로 기대감을 더하는 '366일'은 오는 6월 개봉해 관객들을 찾아간다.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청년 가구 기준 개선 간담회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이스란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4월 17일 오후 3시 30분 인스파이어 1호점 비즈니스센터 회의실(서울 용산구)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청년 가구 기준에 관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원가정을 나와 생활하는 청년 중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보장 단위인 개별가구로 인정받지 못해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현실과 개선책 등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법령에서는 부모와 떨어져 사는 30대 미만인 자녀를 부모와 동일 가구로 간주하고 있어, 원가정을 나온 청년들은 생활이 어려워도 기초생활보장 급여 수급을 위한 개별가구로 인정받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스란 실장은 “가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에 대한 정책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다”라고 말하면서, “올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청년 가구를 독립된 보장 단위로 인정하는 소득, 연령 등 기준을 검토하고 일부 지역에 모의 적용을 통해 실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등 대책을 강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