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춘천 5.9℃
  • 흐림서울 6.1℃
  • 흐림인천 5.6℃
  • 구름많음원주 5.8℃
  • 흐림수원 6.1℃
  • 구름많음청주 7.1℃
  • 흐림대전 7.0℃
  • 맑음안동 4.8℃
  • 맑음포항 7.9℃
  • 흐림군산 8.1℃
  • 구름조금대구 7.4℃
  • 흐림전주 7.5℃
  • 맑음울산 7.3℃
  • 맑음창원 8.6℃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목포 8.8℃
  • 맑음여수 8.2℃
  • 흐림제주 11.2℃
  • 흐림천안 6.7℃
  • 맑음경주시 7.1℃
기상청 제공

플라스틱, 고래 죽이는 ‘애물단지’에서 ‘인형’으로 ‘환골탈태’

사회적기업 우시산’, 친환경제품으로 호응

플라스틱 폐기물 업사이클링해 바다생태계 지켜

‘유라 텀블러’로 각종 SNS에서 인기를 끈 사회적기업 ‘우시산’이 울산의 상징인 고래인형으로 호평받고 있다. 최근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에 동참하는 한편, 해양 생태계와 울산의 상징인 고래를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친환경 고래인형을 제작하게 된 것. 폐사한 고래의 뱃속에서 나온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한 인형과 에코백, 티셔츠 등 아기자기한 소품에 관광객은 물론, 지방자치단체와 관공서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는 게 우시산측의 설명이다. 제품 제작을 위해 울산지역 10여곳의 수거업체와 제휴해 폐플라스틱을 수거하고, 이를 재생 솜과 원단을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이후 지난 3개월간 울산항에 입항하는 대형 선박에서 배출한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해 친환경 제품을 제작해왔다.

‘고래 뱃속으로 들어가는 플라스틱을 고래 인형 뱃속으로!’라는 우시산의 ‘외침’에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자, 고래축제에 참께하는 기회도 잡았다. 우시산은 31일 울산시 장생포고래문화특구에서 열리는 ‘바다의 날’ 행사에 초청받아, 업사이클링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변의현 우시산 대표는 “울산 고래를 보호하고, 바다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제품을 개발, 판매하는 등 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우시산의 고래 인형과 다른 친환경 제품들에 대한 관심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려는 일상 속 작은 실천으로까지 이어지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시산은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 SK종합화학 등 울산지역 자회사들이 지원하는 사회적기업. 울산 남구 장생포는 고래잡이가 금지된 이후 포경업에서 관광산업 위주로 변신을 꾀하면서 고래와 관련된 문화적 가치와 상징성을 부각시키는 축제와 관광자원을 개발 중이다. 우시산은 이에 착안, 고래 관련 유산을 보호하고 일자리를 창출해왔다. 이에 지난 2015년 이후 창업지원과 마케팅과 홍보, 법무 등 경영 컨설팅을 통해 꾸준히 성장해왔다. 현재 갤러리카페 연, 마을행복공방, 고래박물관 기념품점, 고래문화마을 우체국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버 바리스타와 경력단절 여성 등 정직원 11명과 자원봉사자 22명이 근무하고 있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


청주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성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기자 | 청주시는 18일 문화제조창 1층에서 제4회 사회적경제 가치다(多)다 한마당 장터가 ‘건강한 순환, 즐거운 소비’를 주제로 개최됐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가치소비 문화를 알리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지역 내 20여개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참여했으며, 1천여명이 방문해 착한 소비의 의미를 실천했다. 행사장에는 사회경제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로 구성된 오픈마켓을 비롯해 소원 나무, 가치네켓 포토존, 가치다다 토큰 이벤트, 십자말 풀이 등 참여형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운영돼 방문객에게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또한 사회적경제 가치확산과 시민참여 기반 강화를 위해 사회적경제 엠버서더 위촉식을 진행했다. 이어 올해 장터에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을 축하하는 한마당장터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어 참여기업 간 유대를 강화하고 지역 내 사회적가치 확산을 다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시민들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의 가치를 이해하고 따뜻한 소비를 실천하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사회적경제기업의 자립과 성장, 판로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충청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