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춘천 28.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원주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안동 30.2℃
  • 구름조금포항 31.4℃
  • 맑음군산 30.8℃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맑음창원 30.1℃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구름조금목포 30.6℃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기상청 제공

'견우와 선녀' 조이현, 추영우에게 기습 입맞춤 엔딩...쌍방 구원하고 해피엔딩 맞을까?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김은영 기자 | ‘견우와 선녀’ 추영우가 악신에 빙의된 조이현과 재회했다.

 

tvN 월화드라마 ‘견우와 선녀’(연출 김용완, 극본 양지훈, 기획 CJ ENM, 제작 스튜디오드래곤·덱스터픽쳐스·이오콘텐츠그룹) 11화에서는 배견우(추영우 분)가 그토록 찾아 헤맨 박성아(조이현 분)와 재회했다.

 

봉수에 빙의된 박성아와 배견우의 기습 입맞춤 엔딩은 마지막까지 예측 불가한 전개를 예고했다.

 

이날 박성아는 동천장군(김미경 분)의 죽음으로 각성했다. 박성아는 배견우를 살리기 위해 악신이 된 봉수를 자신의 몸에 담고 사라졌다.

 

졸업식 전에 돌아오겠다는 약속은 지켜지지 못했다. 졸업을 하고 국가대표 타이틀을 딴 배견우는 이제 자신이 박성아를 찾아 나설 것을 다짐했다.

 

“성아야 기다려. 이제는 내가 갈게”라는 배견우의 각오는 비장하고 애틋했다. 사라진 박성아를 찾는 사람은 배견우 뿐이 아니었다.

 

염화는 악신이 된 봉수가 사람을 해치는 것을 막기 위해 배견우를 이용해 박성아를 쫓았다. 인간부적으로 연결된 인연의 힘을 통해 배견우가 박성아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 것.

 

배견우는 평생 자신을 옭아맨 액운도, 귀신도 더는 무섭지 않았다. 배견우는 밤낮으로 귀신들을 수소문해 박성아가 있는 곳을 알아냈다.

 

배견우의 뒤를 밟던 염화 역시 박성아가 있는 곳으로 향했다. 그곳엔 봉수가 해친 원혼들을 달래는 ‘천지선녀’ 박성아가 있었다.

 

그러나 염화의 뜻을 알 길 없는 배견우의 돌발행동에 다시 박성아를 놓치고 말았다. 혹시라도 박성아를 다시 만나면 도망치라는 염화의 경고는 의미심장했다.

 

한편 배견우는 익숙한 듯 낯선 교실을 찾아가는 꿈을 꿨다. 배견우는 텅 빈 교실이지만 박성아가 곁에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의 직감은 틀리지 않았다. 배견우가 사라지자 박성아와 봉수가 나타났다. 박성아는 자신이 배견우를 만나면 해가 될까 꿈속에서도 그를 피한 것이었다.

 

박성아와 배견우의 재회는 뜻하지 않은 장소에서 이뤄졌다. 꿈에서 본 꽃도령(윤병희 분)의 법당을 찾은 배견우가 그곳에서 악귀에 빙의된 박성아를 마주한 것.

 

자신을 피해 도망가는 박성아를 붙잡은 순간 기습 입맞춤을 당한 배견우. 놀란 마음에 박성아의 이름을 불렀지만, “성아겠냐”라는 봉수의 거친 답변이 돌아왔다. 상상도 못한 ‘봉수 빙의’ 박성아와 배견우의 재회 엔딩은 결말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배견우를 살리기 위해 ‘악귀 봉수’를 자신의 몸에 가둔 박성아. 사라진 세월 동안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 박성아와 배견우는 서로를 구원하고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마지막 이야기에 이목이 집중된다.

 

tvN 월화드라마 ‘견우와 선녀’ 최종화는 오늘(29일) 저녁 8시 50분 방송된다.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현장에서 활용하는 생성형 AI’ 교육 개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황인규 기자 |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8월 29일 성남아트센터에서 ‘청소년 현장에서 활용하는 생성형 AI’를 주제로 교육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강의는 성남혁신지원센터 김상봉 팀장이 진행했으며,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청소년 이해와 지원에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생성형 AI 도구와 적용 사례를 중점으로 진행됐다. 성남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지역 내 청소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성을 높이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학교와 유관기관 소속 실무자들이 참여해 상담 및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성남시청소년청년재단 양경석 대표이사는 교육 현장을 찾아 참여자들을 격려하며 “이번 교육은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자리가 아니라,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됐다”며,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청소년 교육과 상담, 복지 전반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는 만큼, 이번 배움이 현장에서 맞춤형 지원과 보호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