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춘천 16.1℃
  • 맑음서울 15.0℃
  • 맑음인천 11.6℃
  • 맑음원주 16.3℃
  • 맑음수원 13.1℃
  • 구름조금청주 17.7℃
  • 맑음대전 17.5℃
  • 구름조금포항 14.5℃
  • 맑음군산 11.1℃
  • 맑음대구 17.6℃
  • 맑음전주 13.7℃
  • 맑음울산 13.5℃
  • 맑음창원 15.2℃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목포 13.1℃
  • 맑음여수 13.5℃
  • 흐림제주 12.7℃
  • 맑음천안 15.3℃
  • 구름조금경주시 15.4℃
기상청 제공

'아침 먹을 시간 없어요' 아파트 조식서비스 결국 종료

광주광역시 광산구의 ‘아파트 조식서비스’가 절반의 성과를 거두며 사실상 폐지됐다. 아침밥을 챙겨먹자는 취지는 좋았지만, 결국 아침을 거르는 세태는 이기지 못했다.

14일 구에 따르면, 광산형 아파트 조식서비스는 지난해 11월 15일 이후 중단됐다.

구는 구민의 84%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특성을 고려해 조식서비스를 진행했었다. 주민들과 함께 아침밥을 챙겨먹으며 소통을 활성화하고 사회적경제를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해보자는 취지였다. 민관이 협력해 조식서비스를 시도한 것은 처음이었다.

사회적기업 ‘워킹맘’은 2018년 10월부터 아파트 8곳에서 조식서비스를 진행했다. 구는 주민공동시설을 식당으로 꾸미며 조식서비스가 원활히 실행될 수 있도록 도왔다. 지역 농산물로 만든 음식을 뷔페식으로 공급하고 식사 준비와 정리를 맡을 아파트 입주자들도 고용했다.

하지만 하루 평균 고정 이용객이 40여명에 그치면서 손실이 커지자 시행 4달 만에 업체가 운영 포기했다. 구는 계절적 요인과 아파트별 특성을 고려해 정비기간을 가진 뒤 지난해 4월 다시 새로운 업체 BK푸드를 통해 조식서비스를 이어갔다.

업체가 바뀌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아파트가 11곳까지 늘어나며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는 듯 보였다. 그러나 음식 가짓수를 늘리고 가격은 5000원에서 3000원으로 내렸지만 이용객 수는 좀처럼 늘지 않았다. 하루 고정이용객이 150명은 돼야 사업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실제 이용객은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구가 실시한 설눔조사에 따르면, 조식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주민의 89%가 ‘시간 여유가 없다’ ‘아침식사를 거른다’를 이유로 꼽아 고정 이용객 확대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와중에 재료비가 상승하면서 한계에 봉착한 두 번쩨 업체마저 운영을 포기했다.

비록 중단됐지만 광산형 아파트 조식서비스는 민관이 협력해 사회적 서비스 상생모델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사회적경제를 지역 곳곳에 뿌리내리고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한편,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모색하는 성과를 거뒀다.

구는 사업 폐지에도 조식서비스를 위해 만든 식당은 고스란히 남겨두기로 했다. 나아가 공동체 활성화의 물꼬를 튼 만큼, 밥상공동체 등 후속 사업을 원하는 아파트가 있으면 지원을 검토할 계획이다.

황인규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