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춘천 6.0℃
  • 서울 7.6℃
  • 안개인천 7.4℃
  • 흐림원주 7.0℃
  • 수원 7.6℃
  • 흐림청주 10.3℃
  • 대전 10.1℃
  • 맑음포항 12.2℃
  • 흐림군산 8.3℃
  • 구름많음대구 12.8℃
  • 흐림전주 9.9℃
  • 맑음울산 11.2℃
  • 맑음창원 9.7℃
  • 광주 11.0℃
  • 맑음부산 11.6℃
  • 구름조금목포 9.9℃
  • 맑음여수 11.2℃
  • 맑음제주 13.2℃
  • 구름조금천안 9.5℃
  • 맑음경주시 11.1℃
기상청 제공

도시 만드는 '체인지메이커' 모인다…서울도시재생 주간 개최

4일부터 8일까지 ‘2019 서울도시재생 주간’ 행사가 개최된다.

종로구 돈의문박물관마을에 있는 서울도시재생이야기관와 그 일대인 서울 역사박물관,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진행되는 행사의 주제는 ‘도시를 만드는 사람들(Urban Change Maker)’. 현장에서 도시의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다양한 주체들에 주목했다. 도시재생에서 여러 주체가 참여하는 것이 얼마자 중요한지 시민들의 공감대를 확대할 수 있도록 토론회, 심포지엄, 토크쇼, 공유회, 전시 등이 진행된다.

특히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등 공공기관은 물론 한국도시재생학회,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도시재생활동가협동조합 등 도시재생의 다양한 주체 당사자인 민·관·중간지원조직이 함께 협업해 의미를 더한다.

우선 사람을 향하고 삶을 변화시키는 도시재생의 비전을 모색하는 학술프로그램이 예정돼있다. 4일 ‘2019 서울도시재생 대토론회’(서울도시건축센터)를 시작으로 5일 ‘도시재생x교통 심포지엄 : 도시재생 교통과 만나다’(서울역사박물관), 6일 ‘2019 집수리지원 심포지엄’(프란치스코 교육회관)이 이어진다. 도시재생의 현주소를 짚어보고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 다양한 개선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이 될 전망이다.

현장에서 도시재생을 이끄는 주민과 관계자로부터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이채롭다.

5일에는 교육프로그램 공유회와 사업 참여 공유회가 열린다. 도시재생 교육 프로그램을 체험하고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그룹의 경험을 나누는 자리다. 사업 참여 공유회에서는 상담부스가 운영돼 단계별 노하우부터 행정절차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CRC! 서울의 도시재생을 부탁해’ 토크쇼에서는 서울도시재생기업(CRC) 창업과정별 성공 및 실패사례, 노하우 등을 공유하여 도시재생기업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다. 가드닝이나 리&업사이클링 등을 통해 도시재생의 의미를 체감하는 원데이클래스는 시민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도시재생과 인문학을 결합한 행사도 풍성하게 마련된다. 7일 ‘도시재생 인문학 강좌’에서는 김진애 건축가, 방송인 홍석천, 기타리스트 신대철이 도시건축, 젠트리피케이션, 음악을 주제로 시민들과 도시재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8일 진행되는 도시재생 투어에서는 이태호 명지대 교수와 함께 ‘그림으로 보는 옛 서울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강연과 투어가 1부·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속 풍경을 따라 옛이야기를 들으며 서촌 이상범의 집, 박노수미술관, 이중섭 작업실, 윤동주 하숙집, 수정동 계곡, 옥인동을 함께 걸을 예정이다.

오감으로 즐기는 도시재생 관련 행사는 볼거리다. 도시재생 관계자와 시민이 한자리에 모이는 네트워크 파티는 자유롭게 도시재생을 이야기하는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묵2동 장미막걸리와 수유동 수제맥주 등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제품을 활용한 칵테일쇼와 협주주 퍼포먼스는 눈을 즐겁게 하고, 지역 낙원상가의 낙원밴드, 싱어송라이터 커피소년의 공연은 귀를 즐겁게 한다. 이와 함께 현대작가와 학자, 전문가들의 회화와 설치작품, 사진, 영상을 통해 도시재생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전시회가 연말까지 진행된다.

모든 행사과 체험은 무료이며 참여 신청 및 행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도시재생지원센터 홈페이지(sur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서울의 변화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서울 시민들이야말로 진정한 Urban Change Maker”라며 “도시재생을 위해 열심히 노력해온 관계자들과 시민들의 화합을 도모하고자 열리는 ‘2019 서울도시재생 주간’ 행사를 통해 축적된 성과를 시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겠다”고 말했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