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수)

  • 구름많음춘천 9.3℃
  • 흐림서울 12.3℃
  • 구름많음인천 11.4℃
  • 구름많음원주 11.0℃
  • 구름많음수원 12.4℃
  • 구름많음청주 11.6℃
  • 구름많음대전 12.3℃
  • 구름조금포항 13.1℃
  • 구름조금군산 10.1℃
  • 구름많음대구 11.7℃
  • 구름조금전주 14.3℃
  • 구름조금울산 13.6℃
  • 맑음창원 15.4℃
  • 맑음광주 12.0℃
  • 구름조금부산 15.7℃
  • 맑음목포 12.7℃
  • 맑음여수 13.1℃
  • 맑음제주 15.3℃
  • 구름많음천안 11.7℃
  • 구름조금경주시 11.3℃
기상청 제공

'또 가고 싶은' 동네가게 만든다

생활상권 육성사업시동2022년까지 33억 투입

커뮤니티 스토어·손수가게 통해 주민 니즈 적극 반영

서울시내 자영업 상가 10곳 중 7곳은 10분 내외로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생활상권’에 위치해 있다. 지하철역과 교육시설, 공공기관, 근린시설 등 생활중심지 인근에 위치해 있는 만큼 이들은 안정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을 다르다. 서울시내 자영업 상가 69만곳 가운데 69%인 47만개가 생활상권에 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울신용보증재단과 서울시에 따르면, 동네가게에 대한 시민들의 이용도가 낮았다. 선호하는 구매처 중 동네가게의 비중은 9.8%에 불과하다. 대형마트·SSM(기업형 슈퍼마켓)·프랜차이즈 등이 48%, 온라인 23%인 것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다. 이로 인해 생활상권의 월 평균 매출은 1700만원으로 서울 자영업 전체 평균보다 300만원, 강남역이나 홍대 입구 등 발달상권보다 1000만원이나 적다.

서울시가 동네가게 살리기에 나선다. 생활상권 육성사업을 통해 동네가게를 살리고 골목경제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핵심은 지역주민들의 ‘니즈’를 적극 반영하는 것이다. 동네가게가 무인택배함처럼 실제로 필요로 하는 생활서비스를 제공해 소비를 유도하고, 나아가 골목경제를 살린다는 것이다.

시는 △양천구 신정 6동 △관악구 난곡동 △성북구 보국문로 16길 △종로구 창신동 △서대문구 남가좌2동 △영등포구 당산1동 △서초구 방배2동 △송파구 가락본동 일대 등 8곳을 선정하고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선정 지역에서는 내년 4월까지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주민, 소상공인, 사회적경제, 마을단체 등 지역의 여러 경제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이를 바탕으로 생활서비스를 접목한 상점인 커뮤니티 스토어를 선정하고, 우리농산물을 주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파는 손수가게를 발굴하게 된다.

특히 소상공인이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기존 사업과 차별화된다. 영업환경 개선이나 이벤트 지원 등을 통해 주민의 방문과 소비를 유도하는 ‘세력권’ 방식이었다면 생활상권 사업은 ‘주민생활 향상’을 목표로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변화를 시도하는 ‘이용권’ 방식이다.

시는 내년 4월까지 기반사업을 추진한 뒤 성과가 우수한 5곳을 선정해 본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추가로 내년 하반기에 15곳을 추가로 선정하고 오는 2022년까지 총 60개 지역에서 생활상권 육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3년간 총 33억원이 투입된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