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적경제신문 KSEN 김인효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강화한다. 도는 올해‘직업교육–취업연계–고용유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경력단절여성 8,500명의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력단절여성’은 15세에서 54세 사이의 기혼 여성 중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의미하며, 도내 해당 인원은 약 2만 5천 명으로 매년 약 2천 명씩 감소하는 추세다.
이를 위해 도는 13개 세부사업에 총 116억 원을 투입한다. 특히 올해는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과 직업훈련 참여 확대에 중점을 둔다.
우선, 기존 3개 과정(바이오식품산업 품질관리자 등)이었던 신기술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인공지능 콘텐츠 디자인 전문가 과정을 포함해 6개로 확대한다. 또한 직업교육훈련 참여자에게는 최대 40만 원(1회 10만 원, 최대 4회)을 지원하는 ‘참여촉진수당’을 신설했다.
여성인턴제도도 강화된다. 새일센터를 통해 운영되는 이 제도는 고용유지와 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지원금이 기존 1인당 380만 원에서 460만 원으로 상향됐다. 이 중 기업에는 400만 원, 인턴에게는 60만 원이 지급된다.
전북자치도는 오는 6월과 8월에는 여성 대상 취업박람회를 개최하고 9월에는 취업연계기관 워크숍을 열어 사업성과를 점검하고 유관기관 간 네트워크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김정 전북자치도 여성가족과장은 “경력단절여성들이 다시 사회로 복귀하고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부터 취업, 고용유지까지 전 단계에 걸친 실질적이고 체감도 높은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