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수목원, 58년 만에 전면 개방…안양시-서울대 협력 결실

안양시와 서울대가 협력해 58년 동안 비공개로 운영되던 관악수목원을 전면 개방한다. 최대호 안양시장과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20일 ‘관악수목원 전면 개방 및 국유재산 무상양여를 위한 협약(MOA)’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수목원 내 안양시 소재 구역 617만㎡ 중 90만㎡를 국유재산 무상양여 절차를 거쳐 시민들에게 개방할 예정이다. 다만 연구와 교육을 위한 일부 공간(5만㎡)은 개방 대상에서 제외된다.
안양시는 교육부와 기획재정부의 무상양여 승인이 나는 즉시 개방을 추진할 방침이며, 이르면 올봄 시민들이 수목원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수목원의 명칭도 변경된다. 탐방객들의 혼선을 방지하고 안양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서울대 관악수목원’에서 ‘서울대 안양수목원’으로 바꿀 예정이다. 서울대는 올해 말까지 내부 규정을 개정해 새로운 명칭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번 개방은 자연과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건강 증진과 교육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안양시와 서울대는 2018년부터 협의를 진행해왔으며, 2022년 교류협력협약(MOU) 체결 이후 지난해까지 총 6차례 시범 개방을 통해 약 30만 명이 방문했다.
향후 안양시와 서울대는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생태적 가치를 보호하면서도 시민들에게 편리한 탐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개방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천혜의 자연자원을 시민들에게 돌려드리게 돼 기쁘다”며 “사계절 아름다운 숲을 즐길 수 있도록 서울대와 협력해 잘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홍림 서울대 총장은 “이번 개방이 지역사회 기여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자연의 중요성을 알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다른 국립수목원 사례를 참고해 안양시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양시,서울대,전면 개방,국유재산 무상양여,MOA 협약,생태 보존,시민 개방,탐방객,명칭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