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구름조금춘천 19.5℃
  • 구름조금서울 18.6℃
  • 맑음인천 16.0℃
  • 구름조금원주 18.8℃
  • 맑음수원 16.8℃
  • 맑음청주 19.4℃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포항 16.6℃
  • 맑음군산 13.3℃
  • 맑음대구 21.9℃
  • 맑음전주 17.2℃
  • 맑음울산 18.0℃
  • 맑음창원 19.8℃
  • 맑음광주 17.3℃
  • 맑음부산 18.6℃
  • 맑음목포 12.5℃
  • 맑음여수 16.4℃
  • 구름조금제주 14.9℃
  • 맑음천안 17.6℃
  • 구름많음경주시 19.9℃
기상청 제공

공정무역, 사회운동서 '우리동네 운동'으로 진화

공정무역 운동이 진화하고 있다. 마을 단위의 풀뿌리 운동으로 확산되면서 사회운동에서 일상의 실천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공정무역은 개발도상국 생산자 및 노동자에 대한 착취를 줄이고자 시작됐다. 이들이 만든 물품을 합당한 가격에 거래함으로써 경제적 자립과 아동보호, 환경 보호 등을 실현하는 무역형태다.

최근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정무역의 수요도 덩달아 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사회적경제 활성화에 적극 나서면서 공정무역의 가치는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돌봄은 물론, 국제적 빈곤과 불평등 해소, 생태적 혁신을 이끄는 등 사회적경제를 실천할 수 있어서다.

다만 아직까지 공정무역의 확산은 다소 더딘 편이다. 국제공정무역기구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정무역 제품 판매액은 2011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7년에는 2925만 유로(387억원)을 기록했다. 전세계 시장 규모는 85억 유로, 이제 싹을 틔운 셈이지만 매우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선 고무점이다. 2016년과 2017년 우리나라 공정무역 시장의 성장률은 전세계 최대치였다. 다만, 공정무역 제품 판매액 증가세는 조금씩 둔화되는 모양새다. 2016년에는 전년 대비 57% 성장한 데 반해 2017년에는 약 30%로 떨어졌다. 성장단계에 접어든 만큼, 공정무역의 다각화, 일상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시장의 규모를 늘릴 필요가 있다.

공공의 협력이 중요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 사회적 파급력이 큰 만큼 공정무역 운동에 대한 참여의지를 높이고 민간에 확대할 수 있어서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교육과 홍보 등을 실시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시 단위 지자체 가운데에서는 서울시와 인천시, 화성시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지난해 서울시가 인구 1000만 명 이상 도시 가운데 세계에서 처음으로 ‘공정무역도시’ 인증을 받은 데 이어 경기 화성시도 공식 인증받았다.

자치구 중에서는 인천 계양구, 서울 성동구와 중구, 동작구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인천 계양구는 자치구 단위 최초 국제공정무역마을 인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홍보 활동과 공정무역제품 판매처 발굴 확보 등 공정무역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소셜벤처밸리이기도 한 성동구는 공정무역 관련 조례 제정을 앞두고 있다. 중구는 지난해 공정부역 활성화 원년을 선언하고 국제공정무역기구 한국사무소(Fairtrade Korea)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관내 거버넌스를 구축 중이다. 동작구는 공정무역 교육 및 마을캠페이너 양성, 공정무역 제품 판매 등 연말까지 다양한 지원사업을 진행한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