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전국 최초 저경력 공무원 맞춤형복지 확대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전국 시·도교육청 중 처음으로 저경력 공무원 맞춤형복지를 대폭 확대했다. 이를 통해 저경력 공무원의 이탈을 방지하고 공직사회에 빠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부터 5년 차 이하 공무원은 연차에 따라 맞춤형복지점수를 100만 원에서 20만 원까지 추가로 지원받는다. 특히 1년 차 공무원은 기본복지점수 100만 원에 추가 100만 원을 더해 연간 최대 2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전체 교직원의 기본복지점수도 기존 8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인상된다. 40세 이상 교직원에게 제공되던 건강검진비 20만 원도 연령 제한을 폐지해 모든 교직원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지난해 도교육청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5년 미만 저경력 공무원의 맞춤형복지제도 만족도는 2.89점에 그쳤다. 응답자 88%가 기본점수 인상을 요청했으며, 57.1%는 낮은 보수로 인해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도교육청은 맞춤형복지 확대 외에도 관사 확보, 역량 강화 등을 통해 근무 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교육복지과 엄신옥 과장은 “이번 복지제도 확대가 저경력 공무원에게는 사회안착을, 전체 교직원에게는 격려가 되길 바란다”며 “결혼 지연과 저출생 문제 등 해결을 위해 처우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교직원의 복지 증진이 학생 교육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도교육청,맞춤형복지,저경력 공무원,기본복지점수,공직사회 정착,건강검진비,교직원 복지,처우 개선,사회안착,학생 교육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