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교육감, “언어 장벽 넘어 미래로… 통합 다문화교육 전국 첫 모델 만들다”
경기도교육청이 12월부터 다문화학생의 한국어 교육 강화와 안정적인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해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과 교육부 자기주도학습센터를 연계한 통합 다문화교육을 본격 운영한다. 이는 전국 최초로 한국어 집중교육과 자기주도학습 지원 체계를 결합한 모델로, 다문화학생의 학습 격차를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시도다. 또한 공교육 진입 전 한국어 능력을 사전 확보하도록 돕는 ‘한국어 선이수제’를 경기도 최초로 시범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18일 포천 대진대학교에서 열린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 입학식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백영현 포천시장, 김유열 EBS 사장, 장석환 대진대학교 총장, 경기도의회 윤충식·김성남 의원 등 130여 명이 참석했다. 포천 지역은 지난 10월 관내 7개 자기주도학습센터를 개소한 바 있으며, 이번 통합 운영을 통해 기존 방과후 중심의 활용 공간을 일과 중 다문화학생의 한국어 집중교육과 적응 지원 공간으로 확대하게 됐다.
특히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은 다문화학생이 공교육에 진입하기 전 한국어 교육을 미리 이수하도록 하는 ‘한국어 선이수제’를 시범 운영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학생의 언어 미해득으로 발생하는 학습 부진을 줄이고 학교 적응을 돕는다는 목표다. 경기도교육청은 시범 운영의 효과성을 검증한 뒤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축사에서 “다문화학생이 언어 장벽으로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다”며 “공교육 진입 전 한국어 기초를 다지는 학교로 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을 설계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어 집중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실제로 학교 수업 참여도가 높아진 결과가 확인됐다”며 “한국어 선이수제와 통합 교육을 경기도 전역으로 확산하겠다”고 강조했다.
포천경기한국어랭귀지스쿨은 포천시청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며 지역 기반의 다문화 교육 역량을 강화하는 모델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통합 모델이 다문화학생의 학습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고 공교육 진입 초기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