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춘천 5.9℃
  • 맑음서울 7.3℃
  • 맑음인천 7.2℃
  • 맑음원주 6.0℃
  • 맑음수원 5.7℃
  • 맑음청주 8.6℃
  • 맑음대전 6.6℃
  • 맑음포항 12.2℃
  • 맑음군산 5.6℃
  • 맑음대구 9.0℃
  • 맑음전주 6.2℃
  • 맑음울산 10.8℃
  • 맑음창원 10.2℃
  • 맑음광주 8.3℃
  • 맑음부산 11.7℃
  • 맑음목포 7.3℃
  • 맑음여수 11.1℃
  • 맑음제주 9.0℃
  • 맑음천안 3.5℃
  • 맑음경주시 5.2℃
기상청 제공

버려진 창고, 우리동네 사랑방으로 '변신'

청소년 탈선이나 범죄 등에 악용될 수 있는 방치된 공간이 지역공동체 공간으로 탈바꿈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270억원을 투입해 동네창고, 옛 주민센터 등 비어있는 공공 공간을 마을도서관이나 공유사무실 등 지역 주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공간으로 바꾼다고 밝혔다. ]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을 통해 환경 개선과 더불어 지역 공동체 조직에도 기여할 것으로 행안부는 내다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공간을 개선한 후 시민에게 개방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주민이 사업초기부터 직접 참여해 공간 활용계획을 세우고 공간조성에 참여하게 된다. 또 공간 운영 권한을 주민에게 제공해 실질적인 주민주도 운영도 가능하다.

앞서 행안부는 2018년 공모사업을 통해 서울시 금천구, 부산시 동래구, 경기도 시흥시, 강원도 동해시 등 4곳에서 시범사업을 했었다. 옛 소방서 건물을 주민자치 활성화 공간으로 만든 금천구의 ‘금천1번가’, 방치된 주택을 마을 주민들의 소통공간으로 만든 동래구의 ‘1797팽나무하우스’, 폐허가 된 박물관을 주민도서관으로 재탄생시킨 동해시의 ‘망상해뜰책뜰’ 등은 지난해 모두 문을 열고 주민사랑방으로 정착했다.

이후 지난해에는 부산 사하구 감내 행복나눔센터, 광주 서구 사회적가치 공동체지원센터, 경기 고양시 우리마을 행복충전소 등 17개 시·도 25개 사업을 선정해 연말까지 공간 조성을 진행하고 있다.

행안부는 예산을 지난해보다 18.4%(42억원) 늘리고 15개 시·도 24개 지역에서 다양한 기반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광주광역시 남구처럼 주민기피시설이 집중된 경우 갈등 해소의 장으로, 대구광역시 달서구처럼 거주 주민 중 은퇴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돌봄 플랫폼을 조성해 삶의 질을 높이고 연대를 강화한다. 이재관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공공이 소유한 유휴공간을 방치하기보다는 주민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공유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면서 “지역현안 해결과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