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춘천 6.0℃
  • 서울 7.6℃
  • 안개인천 7.4℃
  • 흐림원주 7.0℃
  • 수원 7.6℃
  • 흐림청주 10.3℃
  • 대전 10.1℃
  • 맑음포항 12.2℃
  • 흐림군산 8.3℃
  • 구름많음대구 12.8℃
  • 흐림전주 9.9℃
  • 맑음울산 11.2℃
  • 맑음창원 9.7℃
  • 광주 11.0℃
  • 맑음부산 11.6℃
  • 구름조금목포 9.9℃
  • 맑음여수 11.2℃
  • 맑음제주 13.2℃
  • 구름조금천안 9.5℃
  • 맑음경주시 11.1℃
기상청 제공

자생력 높아진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 총 2201개 활동

3년 생존률 90.5%에 달해

고용노동부의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 10곳 중 9곳이 3년 이상 생존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고용부에 따르면 2007년부터 현재까지 인증된 사회적기업 2,589개 가운데 2,201개가 활동 중이다. 사회적기업 관련 정책 및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사회적기업 인증 수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3월 인증받은 51개 기관을 포함하면 올해에만 116개 사회적기업이 인증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75개)과 비교하면 1.5배 늘어난 수치다.

특히 사회적기업의 '3년 생존율'은 90.5%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의 자생력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이번 인증으로 4만6443명(취약 계층 2만7991명)의 노동자가 사회적기업에서 일하게 됐으며, 사회적기업의 저변도 한층 넓어졌다. 노숙인 및 저소득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 청각 장애인을 위한 문자통역 제품 개발, 질병 관리 애플리케이션, 공정무역을 통한 저개발국 생산자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젊은 청년들이 창업한 곳이 많았다.



에이유디 사회적협동조합(서울 은평구)는 청각 장애인에게 실시간 자막을 제공하는 ‘쉐어타이핑’ 제품을 개발해 강의, 포럼, 행사장 등에서 문자 통역을 제공하고 있다. 주식회사 두손컴퍼니(서울 성동구)는 일자리를 통한 빈곤 퇴치를 목적으로 노숙인, 저소득자 등 빈곤층을 고용해 물류 대행 업무를 한다. 유메이 주식회사(경기 성남시)는 시민들의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지역별 전염병 및 질병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띠링’을 무료로 제공하는 한편, 사회적기업 휠링보장구협동조합과 함께 장애인 전동차 충전기 위치 알림 애플리케이션 ‘휠누리’를 보급하는 등 장애인의 편의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다. 주식회사 공기핸디크래프트(서울 마포구)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의 생산자 조합과 협약을 맺어 수공예 제품을 생산하고 공정무역 방식으로 저개발국 생산자의 자립을 지원하고 있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사회적기업은 이익 극대화가 목적인 일반 영리기업과는 달리 취약계층 고용 및 사회 서비스 제공, 사회 문제 해결 등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삼고 사회 갈등을 줄이고 사회적 가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회적기업 육성,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중장기적인 추진전략을 펼기고 있다.

나영돈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기업을 창업하는 청년 기업가들이 늘고 있다”며 “사회적 가치 중심의 정부 운영이라는 정부혁신 추진전략에 따라, 소외된 사회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참신한 방법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청년 창업가가 계속 나올 수 있도록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