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메타버스 플랫폼 전문 기업 맥스트(#377030)가 AR 개발 플랫폼의 인식 성능을 업그레이드해 MAXST AR SDK 6.1.0 버전을 지난 9월 19일 선보였다. 올해 5월 선보인 6.0 버전 이후, 이번 업데이트 버전에서는 주요 인식 성능을 향상시켜 더 현실감 있는 AR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MAXST AR SDK 6.1.0 버전은 패키징 기능을 도입, 인식 가능한 타깃의 개수와 속도를 늘렸다. 2D 오브젝트 타깃은 기존 50개에서 최대 1000개까지, 3D 타깃은 기존 3개에서 최대 25개까지 불러올 수 있게 됐다. 공간은 최대 5개까지 로드해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다. 또 3D 공간 인식 및 AR 콘텐츠 트래커 기능(Object Tracker, Object Fusion Tracker, Space Tracker)을 개선해 먼 거리에서도 사물 및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카메라 각도 변화에 대한 추적 안정성을 확보했다. 이번 업그레이드로 공간 및 오브젝트에 대한 인식 정확도가 향상, 다양한 분야에서 사실감 있는 AR 경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글로벌 비디오 게임 상거래 기업 엑솔라(Xsolla)가 새로운 온라인 사이트 엑솔라 몰(Xsolla Mall)을 발표했다. 이 플랫폼을 사용하면 비디오 게임에서 여러 랜딩 페이지를 호스팅할 수 있고, 플레이어들은 개발자 및 퍼블리셔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콘텐츠 제작자 및 결제 제공업체와의 캠페인을 통해 독점 게임 내 아이템, 게임 할인, 프리미엄 경험 등에 액세스할 수 있다. 개발자는 플랫폼 내의 특정 브랜드 랜딩 페이지에서 게임의 콘텐츠뿐 아니라 심지어 게임 전체를 선보이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엑솔라 클라우드 게이밍(Xsolla Cloud Gaming) 솔루션이 지원하는 엑솔라 몰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클라우드 게임 라이브러리는 이미 증가하는 중이다. 또한 엑솔라 몰은 비디오 게임 콘텐츠와 여러 현지 결제 수단의 편의성을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인플루언서의 힘을 통해 하나의 비용 효율적인 플랫폼에 통합하여 게임에 다양한 수익 증가 창출 기회를 제공한다. 엑솔라 몰은 개발자와 퍼블리셔에게 새로운 유통 채널을 제공하여 전반적인 고객 획득 및 유지 비용을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자사의 AI 기반 위치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에 실내 측위 기술을 결합해 실내 유동인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AI유동인구'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은 특정 지역 내 기지국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 실외 이동 인구와 실내 체류 인구의 구분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SKT는 기지국,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전파 정보를 통해 실내,외 인구 분석이 가능한 딥 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리트머스에 적용해 실내 체류 인구와 실외 이동량 분석이 가능한 'AI유동인구'를 개발했다. 또한 리트머스로 분석된 실내,외 유동인구 외에 인구,토지,지역 등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해 지역 내 전체 인구 추정하는 전수화 기술을 적용해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였다. SKT가 개발한 'AI유동인구' 기술의 측정 데이터는 실내 체류 인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공공 인프라, 교통, 재난, 환경 등에 관련된 수요 및 사업계획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LLM 올인원 솔루션 기업 올거나이즈(대표 이창수, https://www.allganize.ai)가 금융에 특화된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알리 파이낸스 LLM(Alli Finance LLM)'을 출시했다. 알리 파이낸스 LLM은 오픈소스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 언어 모델) 가운데 가장 성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메타의 '라마2'를 기반으로 경량화한 금융 특화 sLLM(소형 언어 모델)이다. sLLM은 인간 두뇌의 시냅스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매개변수) 규모가 LLM보다 작지만, 훈련을 위한 데이터,시간,비용 등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 특정 용도의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적합하다. 알리 파이낸스 LLM은 파라미터(매개변수)가 130억개인 '13B'와 700억개인 '70B' 두 모델이 함께 출시돼 프로젝트 비용과 난이도에 따라 모델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알리 파이낸스 LLM은 금융 도메인에 특화한 데이터로 학습돼 금융 용어를 이해한다는 강점이 있다. 일례로 'LTV'라는 단어를 챗GPT에 물어볼 경우 고객의 생애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SK텔레콤과 소셜벤처 코액터스가 음성인식 AI기술을 바탕으로 '고요한 모빌리티(이하 고요한M)'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 www.sktelecom.com)은 청각장애인 기사 고용으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고 있는 고요한M에 자사의 음성인식 인공지능 AI를 적용, 고객들이 운행 중 이동 정보나 듣고 싶은 음악 등을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업그레이드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고요한M은 고객이 원하는 음악을 마음껏 골라 차량 스피커로 들을 수 있는 달리는 음악 쉼터로 탈바꿈한다. 기존에는 택시 승객들이 운행 중 원하는 음악이나 라디오 프로그램을 청취하기가 어려웠지만, 고요한M에서는 고객이 콘텐츠 선택권을 가지고 자신만의 휴식을 즐길 수 있다. 고객은 뒷좌석에 설치된 태블릿PC의 마이크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아리아'를 불러 원하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입력된 곡 제목은 플로(FLO) 서비스와 연동되며, 태블릿PC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차량 스피커에서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DX전문기업 LG CNS가 로봇 통합운영 플랫폼 사업을 강화한다. LG CNS는 최근 마곡 LG CNS 본사에서 AI기반 로봇 솔루션 기업 'XYZ로보틱스'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국내 물류센터의 로봇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XYZ로보틱스는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3D비전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로봇의 손에 해당하는 그리퍼(Gripper)를 설계, 제작하는 역량도 뛰어나다. 이러한 로봇 솔루션을 기반으로 △물류센터 입고를 위해 다양한 상품을 집어서 화물운반대(팔레트)에 쌓는 '팔레타이징(Palletizing)' 로봇 △화물운반대에 적재된 상품을 컨베이어 벨트 등 다른 장소로 옮겨주는 '디팔레타이징(Depalletizing)' 로봇 △포장과 분류 등을 위해 개별 상품을 집는 '피스 피킹(Piece Picking)' 로봇을 물류현장에 적용하는 사업을 진행중이다. LG CNS는 지난 7월 '로봇 통합운영 플랫폼'을 선보였다. 물류센터 운영자 관점에서는 △오토스토어 △무인운송로봇(AGV, Automated Guided Vehicle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샵이 홈쇼핑 업계 최초로 NDI(Network Device Interface) 기반 방송시스템을 구축해 디지털 스튜디오를 완성했다. GS샵은 7월 말 가장 큰 스튜디오에 가로 35.1m,세로 4.8m 크기의 초대형 LED 월(Wall)을 설치하는 데 이어 8월에는 NDI 프로토콜 기반 방송시스템을 구축하며 가장 완성도 높은 디지털 스튜디오를 운영할 수 있게 됐다. NDI(Network Device Interface)는 네트워크를 이용해 다수의 방송 장비를 제어하거나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NDI 기반 방송시스템에서는 기존에 동축 케이블로 주고받던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장비나 공간 등 물리적 제약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튜디오가 아닌 곳에서 생방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카메라와 송출 장비를 케이블로 직접 연결해야 했으나, NDI 기반 방송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할 수 있어 이 같은 제약이 없어진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삼성전자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The Frame)'을 통해 세계적인 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이 소장한 명작을 만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사이프러스가 있는 밀밭(Wheat Field with Cypresses)', '에드가 드가(Edgar Degas)'의 '무대 위의 발레 리허설(The Rehearsal of the Ballet Onstage)', '앙리 루소(Henri Rousseau)'의 '사자의 식사(The Repast of the Lion)' 등 세계적인 명작 38점을 엄선해 지난 15일부터 삼성 아트 스토어에 선보였다. 삼성 아트 스토어는 아트 콘텐츠 구독 서비스로, 세계적인 미술 거장의 작품과 전 세계 유명 미술관,갤러리가 소장한 2300여 점의 작품을 4K 화질로 감상할 수 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상윤 부사장은 '이번 협업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작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공간 자산 관리 솔루션 업계의 세계적인 공급 업체인 버티GIS(VertiGIS)가 5월 북미 지역에서 버티GIS 네트웍스(VertiGIS Networks) 제품군을 선공개한 뒤 마침내 전 세계에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기업은 버티GIS 네트웍스의 특화된 솔루션을 통해 최신 웹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데이터를 시각화, 편집 및 통합할 수 있다. 지리정보시스템(GIS) 소프트웨어 업계의 글로벌 리더인 에스리(Esri)는 2018년 ArcGIS 유틸리티 네트워크(ArcGIS Utility Network)를 론칭한 바 있다. 버티GIS 네트웍스는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최신 제품군이다. 기업은 웹 브라우저와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 오프라인 구분 없이 ArcGIS 유틸리티 네트워크 데이터를 시각화, 추적, 분석, 편집할 수 있다. 버티GIS 네트웍스를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의 측정 가능성과 유연성을 강화함으로써 기업은 원활하게 통합하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탄력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버티GIS 네트웍스는 SAP를 비롯한 업무용 소프트웨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박진수 기자 |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21일부터 제주도 남단에 위치한 가파도에 드론 택배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가파도는 택배가 배달되지 않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어 국토부는 가파도를 올해 드론실증도시(제주도) 사업으로 선정했다. 이어 행안부,제주도청, 드론기업 및 물류업체 등과 함께 드론 택배 상용화 추진다늘 구성해 섬 지역 드론 택배 사업을 추진해 왔다. 국토부는 세계 최초로 이동통신망(LTE)을 이용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드론을 식별하고 모니터링하는 드론식별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행안부는 가파도에 GSP좌표를 포함한 주소체계를 부여하고 드론배달점 14곳을 지정했다. 제주도청은 본섬 상모리와 가파도 선착장에 드론배송거점 2곳을 설치하는 등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드론 택배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드론 택배 서비스는 오는 21일부터 시작된다. 첫 배송은 사전 주문한 택배 4점을 제주도 상모리에서 가파도 선착장 드론배송센터로 통합 배송한 뒤
‘원어민과 함께 생태 탐험’…경기도교육청국제교육원, Glocal English 공유학교 운영 경기도교육청국제교육원(원장 조영민)이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소속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2025 글로컬 영어(Glocal English) 공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과 생태 감수성 함양을 동시에 겨냥한 프로젝트형 수업으로, 28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다. ‘우리는 글로컬 생태 탐험대(We are the Glocal Eco Explorers)’를 주제로 운영되는 이번 공유학교는 원어민 강사가 배치되지 않은 학교의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 활동을 통해 책임 있는 세계시민으로의 성장을 지원한다. 특히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한 지역 생태 탐방 활동이 영어로 이뤄지며, SDGs 목표 이해, 생물 도감 만들기, 생태 보호 실천 활동 등 다양한 주제 중심 학습이 포함됐다. 학생들은 관찰, 촬영, 발표 활동을 모두 영어로 수행하며 실생활 속 영어 사용 능력을 키우고 있다. 한 학생은 “평소 영어를 좋아하지만 대화할 기회가 부족했는데, 이번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표현을 직접 사용해보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김은영 기자 | 박정훈(19.종근당)이 2025 시즌 ‘KPGA 챌린지투어 13회 대회(총상금 1억 원, 우승상금 2천만 원)’에서 프로 데뷔 첫 승을 달성했다. 28일과 29일 양일 간 전북 군산 소재 군산CC 전주, 익산 코스(파71. 7,143야드)에서 열린 대회 첫째 날 박정훈은 보기 없이 버디 5개를 잡아내 5언더파 66타로 공동 17위에 자리했다. 대회 최종일 박정훈의 기세는 매서웠다. 1번홀(파4)부터 버디를 잡아내며 전반에만 버디 4개로 4타를 줄인 박정훈은 12번홀(파4)에서 또 한 번 버디를 추가했다. 압권은 14번홀(파5)부터였다. 박정훈은 14번홀부터 18번홀(파4)까지 5개 홀 연속 버디를 뽑아냈다. 이날만 10타를 줄인 박정훈은 최종합계 15언더파 127타를 기록하며 2위 박도형(32)을 1타 차로 제치고 프로 데뷔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이틀 간 박정훈이 잡아낸 버디는 무려 15개로 보기는 단 1개도 나오지 않았다. 우승 후 박정훈은 “오늘 모든 플레이가 공략한대로 잘 풀린 것 같다”며 “특히 아이언샷과 쇼트게임에서 정확하게 공략한 위치로 잘 떨어뜨렸다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김은영 기자 | (사)한국프로골프협회(회장 김원섭, KPGA)가 진행한 ‘KPGA Teaching Relay 2025’가 지난 28일 서울 송파구 소재 롯데월드타워 31층 SKY31컨벤션 오디토리움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KPGA Teaching Relay 2025’는 KPGA 기술교육위원회(위원장 김주연)에서 특별 기획한 대형 교습 세미나로 130여 명의 KPGA 및 KLPGA 프로, 주니어 선수와 골프관련학과 학생들이 참석하며 4개의 교습 세션으로 진행됐다. ‘KPGA Teaching Relay 2025’는 ‘4인의 전문가, 교습의 깊이를 더하다’라는 주제 아래 참가자들에게 실질적인 현장 노하우와 최신 트렌드를 전달했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Putting Ballistix 코리아 아카데미 원장이자 KPGA 투어 및 KLPGA 투어 선수들의 퍼트 코치인 김규태 프로가 ‘투어프로처럼 퍼팅하라’를 주제로 투어 선수들의 퍼팅 메커니즘과 실전 적용법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TEAM 해솔리아 염동훈 아카데미의 염동훈 프로가 ‘올바른 진단과 처방’을 주제로 스윙 분석과 맞춤형 교정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김태훈 기자 | 전라남도 나주시가 영산강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지역의 역사와 지리적 상징성을 조망할 수 있는 한반도지형 전망시설을 동강면 곡천리 일원에 조성한다. 나주시는 해당 사업을 통해 영산강의 아름다운 곡선과 한반도 형상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전망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총사업비 95억 원을 투입하는 이번 시설은 연면적 약 800㎡, 지상 5층(높이 43m)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며 전망시설 외에도 야외 마당, 조경 공간, 편의시설 등을 함께 조성할 계획이다. 전망대는 외부 환경에 강하고 유지와 관리 효율성이 높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데크, 강화유리 등을 주재료로 활용하고 360도 파노라마 뷰를 확보해 다양한 각도에서 영산강과 주변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시는 이 시설을 영산강권역 대표 조망 명소로 조성해 타 지역 전망대와 차별화된 랜드마크로 육성할 방침이다. 특히 야간 시간에는 미디어 프로젝션과 조명 연출을 통해 영산강의 곡선미와 한반도 형상의 선율을 테마로 한 화려한 야경을 선보일 계획이다. 시설 조성과정
한국사회적경제신문 김인효 기자 | 서울 동대문구는 거리노숙인 등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이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원활히 신청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 서민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지원금으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어 저소득층 및 소외계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거리노숙인의 경우 정보 접근이 어려워 신청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다. 이에 동대문구는 거리노숙인들이 쿠폰 신청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복지 담당 공무원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1:1 상담을 진행하고, 필요한 경우 동주민센터 또는 은행 등 신청기관까지 함께 동행해 신청 절차 전반을 밀착 지원하고 있다. 노숙인 보호시설인 ‘가나안쉼터’와 ‘다일작은천국’에서도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쿠폰 신청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반응도 긍정적이다. 가나안쉼터 관계자는 “쿠폰 신청 지원이 입소자들의 생활 안정과 자립 의지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입소자들의 자립과 복지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구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