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춘천 3.2℃
  • 맑음서울 6.8℃
  • 맑음인천 6.9℃
  • 맑음원주 4.3℃
  • 맑음수원 4.1℃
  • 맑음청주 7.4℃
  • 맑음대전 5.2℃
  • 맑음포항 10.5℃
  • 맑음군산 4.1℃
  • 맑음대구 6.2℃
  • 맑음전주 5.6℃
  • 맑음울산 8.7℃
  • 맑음창원 8.1℃
  • 맑음광주 6.4℃
  • 맑음부산 9.6℃
  • 맑음목포 6.3℃
  • 맑음여수 9.9℃
  • 맑음제주 8.6℃
  • 맑음천안 1.8℃
  • 맑음경주시 3.7℃
기상청 제공

‘서울 사회적경제 보따리 토크 2021’ 개최[사회적경제와 시민이 함께하는 협력의 장]

사회적경제와 시민이 함께하는 협력의 장, ‘서울 사회적경제 보따리 토크 2021’ 개최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이하 센터)가 12월 14~15일 센터 유튜브 채널로 ‘서울 사회적경제 보따리 토크 2021 : 협력 해’를 개최한다. 위드 코로나에 따른 급격한 경제·사회 변화 속 사회적경제는 시민과 함께하는 일상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에 혁신적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마련하고, 쇠퇴해 가는 골목 상권을 살리기 위해 소상공인을 협동 방식으로 견인하면서, 사회적경제 조직과 연대한 사회적 약자를 보듬는 등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이웃의 경제, 친구의 경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라는 위기에도 흔들림 없이 추진된 서울 사회적경제 활동·성과를 깊이 있게 공유한다. 17개 사업에 함께한 70여명의 사회적경제 관계자와 시민이 온라인으로 만나는 화합과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조주연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장이 ‘여는 말’을 통해 2021년을 마무리하고 2022년을 준비하는 이번 행사의 포문을 열며 △사업 관계자들과 함께 제작한 ‘협력이란?’ 영상 상영 △‘노동 시장 양극화’, ‘기후 위기’ 등 주요 사회 문제를 주제로 한 몰입감 있는 사경 웹드라마 상영 △함께 풀어보는 ‘사경 골든벨’ 기초편 및 심화편 온라인 퀴즈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첫째 날(14일)은 △신진 연구단 운영 △혁신가 양성 과정 및 시민 동기 부여 과정 △사회적경제 공간 활성화 △사회적경제 공공 시장 활성화 △솔루션스쿨2 및 포스트 코로나 리부트 프로젝트 △사회적경제 공공 구매 온라인 상담회 △사회적경제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유통형 사회적경제 조직 육성 지원 등 총 8개의 보따리 토크가 진행된다.

‘혁신가 양성 과정 및 시민 동기 부여 과정’에서는 ‘사회적경제의 스타트 라인, 커뮤니티형 교육’을 주제로 기존 사회적경제 교육과는 차별화한 ‘커뮤니티형 교육’을 통해 사회적경제에 대한 다양한 관심사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소통한 청년들의 참여 소감을 들어보고, 사회적경제와 커뮤니티형 교육의 지속적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솔루션스쿨2 및 포스트 코로나 리부트 프로젝트’에서는 ‘코로나19 속, 우리 안의 기회 찾기’를 주제로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솔루션을 찾아가는 과정과 필요를 공유하고, 사회적경제 기업의 유통과 서비스 과정 변화에 도전하는 기업들 이야기를 들어본다.

둘째 날(15일)은 △임팩트 전략 지원 △기후 위기 대응 사회적경제 식문화 네트워크 전략 수립 △사회 문제 해결 신규 전략 모델 △청년이 만드는 사회적경제 혁신 사업 모델 △시민 액션 플랜 △서울시 마을기업 청년 주체 발굴 및 육성 사업 △사회적경제 지역 사회 통합 돌봄 자치구 기반 실행 지원 △사회적경제 신규 네트워크 조직화 △골목 경제 활성화 프로젝트 등 총 9개의 보따리 토크가 진행된다.

‘기후 위기 대응 사회적경제 식문화 네트워크 전략 수립’에서는 ‘기후 위기 대응 농부와 도시를 잇는 새로운 지점들’을 주제로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친환경 소농과 도시의 가치 지향 소비자들을 잇기 위한 생산자·소비자·매개자 조사의 의의와 앞으로 과제를 살펴본다. ‘청년이 만드는 사회적경제 혁신 사업 모델’에서는 ‘변화의 물결을 일으키는 청년 여성 스피커들의 들썩들썩 실험’을 주제로 성 평등, 기후 위기 대응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프로젝트를 함께 실험하고 서로 지지하며 사회적경제와 청년 여성들의 만남을 갖는다.

조주연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센터장은 “서울 사회적경제 보따리 토크 2021을 통해 공공 주도 정책에서 상호 협력 정책으로, 기업에서 기업을 포함한 시민으로, 정책 성과 입증에서 시민과의 관계성 및 지속성 확보를 중심에 두고 진행한 올해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내년에도 시민 중심의 사회적경제 협력 사업을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의를 밝혔다. 서울 사회적경제 보따리 토크 2021 행사 관련 문의는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로 하면 된다.

한편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사회적경제 정책 통합 및 지속 가능한 기반 조성을 위해 2013년 1월 설립된 민관 거버넌스 기관이다. 서울시와 자치구의 통합적 정책 환경을 조성하는 등 공동 사업 기반을 마련하며, 기업 성장 단계별 지원을 비롯해 △사회 투자 △공공 구매 △윤리적 소비문화 확산을 통해 기업과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등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지원하고 있다.

 

김인효 기자 kjc816@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