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비용 부담 덜도록 2% 저리 지원…60억은 무담보 대출도
서울시가 영세한 소상공인과 사회적기업을 경영 안정을 위해 내년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 1조5000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올해보다 약 5000억원 늘어난 액수다.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소상공인들이 경영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우량자금을 2.0~2.5%의 저리자금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서울시중소기업육성기금 직접융자금 2500억원, 시중은행협력자금 1조2500억원으로 구성된다.
서울시가 저금리 금융지원에 나선 것은 소상공인들의 경영환경이 악화졌으나 이들의 자금조달 창구가 좁아진 탓이다. 긴급자영업자금, 경제활성화자금 등 주요자금이 조기 소진됨은 물론, 미국과 국내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함꼐 올라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거졌다. 시는 직접융자금의 대출금리를 2.0~2.5%, 시중은행협력자금의 이차보전율을 1.0~2.5%로 유지해 소상공인들의 비용부담을 줄여줄 방침이다.
우선 소상공인 경영안정을 위한 일반 운영자금 성격의 성장기반자금(직접융자), 경제활성화자금(협력자금)은 1조1340억원으로 올해 대비 3890억원 증액된다. 특히 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생계형영세자영업자, 매출급감·임대료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경영안정에 직접 도움이 되는 긴급자영업자금과 경영개선자금을 올해보다 4440억원 늘렸다.
기술형창업자금은 2배 늘려 200억원을 지원하며,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여성고용우수기업 등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사업주와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을 유도해 사회안전망 편입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보험가입촉진자금’ 또한 200억원으로 증액된다.
제도권 금융 이용이 어려운 저신용 영세자영업자를 위한 마이크로크레딧도 운영된다. 60억원의 자금을 담보없이 1.8%의 저금리로 빌려주고, 자금을 지원받는 예비창업자와 영세소상공인에게는 경영컨설팅을 통해 밀착지원하는 방식으로 경제적 자립기반을 다질 수 있게 할 얘정이다.
과밀화된 자영업시장의 내실을 다지고 준비된 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도 마련된다. 창업컨설팅 이수 기업 창업과 일반창업을 각각 400억원과 600억원으로 구분해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창업교육기관의 교육을 받고 서울시자영업지원센터에서 1·2단계 컨설팅을 이수할 경우에는 5000만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 소재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중 자금지원을 원하는 기업은 서울시내 17개 서울신용보증재단 영업점을 방문해 신청하면 자금지원과 신용보증을 원스톱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와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ksen@ksen.co.kr 변윤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