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 Girls on the Run International

  • 등록 2013.10.02 11:12:03
크게보기

2013년 09월 16호


Girls on the run.jpg

GIRLS ON THE RUN INTERNATIONAL : 탄생과 성공 스토리 

Girls on the Run®(GOTR)은 어린 소녀들이 자신의 무한한 잠재력을 인식하고 자신의 꿈을 찾아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다. 

GOTR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어린 소녀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평생 건강과 체력을 갖출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실제적인 성취를 통해 자신감을 쌓을 수 있도록 해주는 활동 프로그램이다. 이 과정을 통해 어린 소녀들은 중요한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기술과 능력을 개발하고 강화시킬 수 있다. 

1996년 노스캐롤라이나 샬롯에서 13명의 소녀들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으로 시작하였지만 2000년에는 공식적으로 501c3 조직으로 구성되었고 2006년에는 4만 명 정도의 소녀들이 참여할 정도로 성장하면서 현재는 미국과 캐나다 200개 이상의 도시에서 5만 5천 명의 자원봉사자와 13만 명 이상의 소녀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평가 연구와 수많은 성공 사례는 이 프로그램이 섭식 장애, 유년기 비만과 자존감 저하와 같은 문제들을 완화시키면서 프로그램 참가 소녀들과 그 가족의 삶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Girls on the Run International의 역사 
교사, 코치, 사회복지사, 문제 소녀 상담자, 유망 운동선수들이 스트레스로 인한 섭식장애와 심리적 문제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실제 관찰해 왔던 엘리트 운동선수로서 몰리 파커(Molly Barker)는 자신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어린 소녀들이 성장기에 겪는 문제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Girls on the Run에 대한 아이디어를 1993년 처음 착안했다. 게임과 운동으로 구성된 일련의 활동을 통해 어린 소녀들에게 자부심과 건강한 생활 습관에 대해 가르치고 자기 존중 의식을 심어주는 프로그램이었다. 

이러한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고 1996년 몰리는 십대에 접어들기 이전의 13명의 소녀들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일주일에 두 번 수업하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시작하였다. 각 세션에서 다루는 주제는 험담이나 친구에 대한 스트레스, 건강한 식생활, 사회봉사, 목표 설정의 중요성 및 가치에 관한 것들이었고 프로그램 마지막은 5K나 1마일을 실제 완주하는 것이다. 몰리의 초기 프로그램은 입소문을 타게 되어 8세~12세 여자아이를 둔 샬롯 전 지역 학부모들은 이 프로그램에 등록하기 위해 열성적이었다. 처음에 몰리는 이러한 부모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여러 지역에서 혼자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그 후 수업료로 운영되는 비영리 벤처를 만들었고 더 나아가 보다 많은 아이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비영리 501(c)3 조직을 구성하게 되었다. 

GOTR가 비영리 단체 기부금 및 보조금에 의해 지원됨에 따라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고 어려운 소녀들에게는 장학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 2001년 501(C)3 조직이 되면서 여러 비영리 단체가 결합된 조직으로 성장하면서 각 지역 챕터들이 자신의 운영위원을 구성하고 사업을 스스로 계획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고 모두 같은 내용으로 수업을 구성하며 Girls on the Run이라는 브랜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더불어 펀드 조성 방법도 각자 모색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학교뿐 아니라 소년/소녀 클럽, YMCA 및 지역 병원 같은 곳에서 이 프로그램이 운영되게 하였고 다른 사회단체와도 공식적인 협력관계를 맺어나갔다. 

1998년 Runner’s World라는 잡지가 "Golden Shoe" 수상자로 몰리를 소개하였는데 이것이 GOTR 초기 성장을 가속시키게 된 계기가 되었다. 후에 GOTR 조직의 CEO가 된 아니사 프리먼(Anissa Freeman)과 같은 많은 여성들이 이 기사를 보고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연락을 해왔다. 한 예로 맨디 비어드(Mandy Beard)는 자신의 고향인 더럼(Durham)에 2000년 독립적인 위원회를 설립하고 GOTR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다. 

몰리 바커와 맨디 비어드와 같이 처음에는 모두 자신의 집과 차고에서 GOTR를 시작하였지만 2006년에는 각 위원회마다 매년 수백 명의 어린 소녀들이 참여하는 140 위원회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본사를 노스캐롤라이나 샬롯에 두고 10명의 유급 직원을 가진 Girls on the Run International로 성장하게 되었다. 

8~12세 소녀 대상의 표준 프로그램 외에도 몰리는 13~15세 소녀들을 위한 “Girls on Track”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섭식장애, 약물 남용, 성 희롱과 같은 십대 소녀들에 관련된 문제를 탐구하였는데 대부분의 위원회가 핵심 프로그램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을 진행한 곳은 많지는 않았다. 또한 여러 위원회에서 “Girls on Track”에서 다루는 문제는 범위가 넓다는 점을 지적하였기 때문에 핵심 프로그램만큼 관심을 받지는 못하였다. 이 외에도 몰리는 “Boys on the Run”이라는 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험 운영하기도 했지만 코치와 참여자들의 문제, 소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과는 매우 다른 성격의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깨닫고 운영을 중단하기도 하였다.   

Girls on the Run International 성장 요인  
많은 성장 요인이 있지만 성공의 핵심은 자원 봉사자, 직원, 학부모 및 프로그램 참가자  모두의 내면에 깊이 전달된 GOTR 사명 즉, 십대에 접어들기 이전의 어린 소녀들이 일생을 통해  자기 존중과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확실한 GOTR 목표였다. 참여한 모두는 이점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공유하였다. 몰리 바커 와 맨디 비어드와 같은 열성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자 덕분에 Girls on the Run은 풍부한 인적 자원에 기반을 두고 상대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변화하는 경제, 사회, 문화, 정치적 환경 속에서 자원 봉사자나 학부모와 같은 참여자들이 GOTR의 비전이 우리 사회에 얼마나 필요한 것인지 깊이 인식하게 된 점 또한 성공의 큰 열쇠가 되었다. 예를 들어 여자 아이들의 성숙 속도가 빨라지면서 소녀들이 마르고 섹시한 여자 연예인을 우상으로 여기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 섭식장애나 비만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통해 자녀들의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에 따라 자녀들이 이러한 성장의 기회를 따라갈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부모들의 관심과 열성, 마라톤, 하프 마라톤, 러닝 대회 등 달리기에 대한 대중적 관심의 증가, 등 몰리나 맨디와 같은 리더들이 고의적으로 유도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시대적 요구가 바로 GOTR 비전 및 목표와 일치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설립자인 몰리 파커가 기대했던 이상으로 Girls on the Run은 성장하게 되었다. 

Girls on the Run International의 미래  
Girls on the Run이 지금까지의 성공을 바탕으로 더 큰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설립자인 몰리를 비롯한 스텝들이 현재 진행 중인 프로그램과 활동을 지역적으로 확장해 가던지 아니면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은 소녀들의 성장에 기여하는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채택할 것인지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할 시점에 왔다. 현재의 기금 모금, 기업 기부원에 관한 방법을 재고하고 사회적 변화를 이끈 활동을 보다 명확한 데이터로 제시함으로써 기부자들의 참여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전에 시도했던 십대 소녀들에 대한 프로그램과 소년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서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확장해 가는 방향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향후 유사하거나 혹은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등장할 때 현재 프로그램의 고유 가치를 어떻게 지켜낼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도 마련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앞으로 여성들의 사회적 진출이 많아짐에 따라 현재와 같은 자원봉사자들의 지원이 줄어들 경우 어떤 전략을 선택할 것인지, 어린 소녀들을 위한 교육 시스템의 개선과 법률적 변화를 어떻게 추진해 갈 수 있는지 등 앞으로 많은 선택이 남아 있다. 

본 내용은 Girls on the Run에 대한 성공사례연구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Girls on the Run 홈페이지 http://www.girlsontherun.org/와 CASE 보고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관리자 기자 kjc816@ksen.co.kr
<© 2014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모든 권리 보유. 본 기사의 내용은 비상업적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한국사회적경제신문의 명시적 허가 없이 재배포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28길 24, 803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5353 등록일 : 2014.6.19 발행·편집인 : 고재철 대표전화번호 : 02) 714-1076 한국사회적경제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2014 한국사회적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