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마을단위 공간복지 사업을 2022년까지 25개 자치구, 424개동 전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공간 재생과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는 ‘마을건축가’를 더욱 활성화한다.
지난해 처음 시행한 마을건축가는 서울시 공공건축가 제도를 지역맞춤형으로 발전시킨 모델이다. 사업별 전문가를 활용하는 서울시 공공건축가 제도와 달리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장소중심형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마을건축가는 주민과 행정 사이에서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공간개선사업 추진체계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동 단위의 공간개선을 추진할 수 있도록 마을 공공성지도를 작성하고 정책사업을 발굴하는 것은 물론, 지역의 공간복지 향상 사업을 지원한다. 건축·공간환경 관련 주요 현안을 자문하고, 집수리·마을활동가 등의 지역 활동을 총괄 기획한다. 공공·민간사업의 코디네이터 역할도 겸한다.
지난해 시는 128명의 마을건축가를 위촉, 동 단위의 공간개선을 추진했다. 25개 자치구의 마을지도를 작성해 363건의 단위사업을 발굴한 데 이어 서울시 최초로 추진한 ‘우리동네키움센터 공간개선사업’에 참여하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올해에는 자치구 협력 강화, 지역 확대 등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다양한 전문가를 영입하고 지역의 인문·지리적 가치를 바탕으로 세부 실행계획을 보완하기로 했다. 특히 마을에 거주하고 있거나 유년시절을 보내는 등 애착을 가진 지역 건축가들을 선정해 지역 중심의 적극적인 활동을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바탕으로 시는 마을단위 공간복지 사업을 2022년까지 25개 자치구, 424개동 전체로 확대할 예정이다.
마을건축가에 관심있는 분야별 전문가는 서울시 홈페이지(http://www.seoul.go.kr)를 참조해 2월 14일까지 응모하면 된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공공건축에 집중되어 있는 공공건축가제도의 실질적 성과가 더욱 확대돼 마을 단위 생활환경의 균형적인 개선, 선제적인 공간복지의 실현, 분야별 전문가의 사회공헌을 유도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1단계 제도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주민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동네 환경 개선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