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활성화 외치고 공공구매는 ‘외면’

  • 등록 2019.07.11 09:30:28
크게보기

부산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물품 구매 매우 저조

지난해 1.98%에 불과2017년 비해 0.61% 줄어들어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가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 활성화엔 강조하면서도 정작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판로 확대에는 소극적이었다.

사회적경제 부산네트워크와 부산경실련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시 소재 공공기관 74곳의 사회적기업 구매비율은 1.98%에 그쳤다. 심지어 2017년(2.59%)에 비해서도 0.61%포인트가 줄어들었다.

부산시의 지난해 사회적기업 물품 및 용역 서비스 총 구매액은 22억7500만원으로, 전년보다 0.89%포인트 줄어들었다. 총구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05%에 불과했다.

부산 16개 구ㆍ군의 사회적기업 물품 구매도 전체적으로 줄어들었다. 전년 대비 2.56%P 감소, 총 30억8100만원(5.64%)으로 집계됐다. 사회적기업 물품 구매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자치구는 중구로, 전체 구매액의 34.07%(10억4,900만원)를 차지했다.

부산시교육청 역시 전년 대비 0.22%P 감소한 38억8500만원 에 머물렀다. 사회적기업의 물품 구매 비율도 전체의 1.92% 수준이었디.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2%대를 유지했지만, 지난해 무너진 것이다.

또 부산시 19개 출자ㆍ출연기관의 사회적기업 구매금액은 9억3,600만원으로, 총 구매액의 1.36%로 니티닜디. 전년과 비교해 0.43%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다만 산하 공기업과 이전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물품 구매는 약간 늘었다. 부산시 산하 7개 공기업의 사회적기업 평균 구매비율은 1.92%로 2017년(1.27%)에 비해 0.65%포인트 늘었다. 그러나 부산시와 16개 구ㆍ군 평균보다는 낮았다.

부산으로 이전한 11개 공공기관의 지난해 사회적기업 이용실적 또한 2.77%로 2017년(2.60%)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부산지역의 국립대학교 중에서는 부산교육대학교만이 총 금액 5억4000만원 중 2억4300만원(45.06%)을 사회적기업 물품 구매에 사용했다.부산대와 3개 국립대학 기관은 1%에 미치지 못했다.

사회적경제 부산네트워크는 “부산시를 비롯한 중간지원기간들의 협력을 통해 공공기관에게 지속적으로 사회적기업의 물품을 소개하고, 상품 구매를 촉진하는 등 사회적기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향후 사회적경제의 실질적 확산을 위해 공공기관의 실천을 독려할 계획이다. 사회적경제기업으로 입찰 가점·수의계약 대상을 확대하고, 공공기관 평가에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를 반영할 예정이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
관리자 기자 kjc816@ksen.co.kr
<© 2014 한국사회적경제신문. 모든 권리 보유. 본 기사의 내용은 비상업적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한국사회적경제신문의 명시적 허가 없이 재배포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28길 24, 803호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 05353 등록일 : 2014.6.19 발행·편집인 : 고재철 대표전화번호 : 02) 714-1076 한국사회적경제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2014 한국사회적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