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은 1915억원 공급
기업·신한 순으로 많아
올 상반기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4000억원을 넘어셨다. 특히 은행권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자금 공급을 10% 이상 늘리며 공급량을 확대했다.
금융위원회는 10일 김태현 사무처장 주재로 2019년 제2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고 올해 공공부분과 은행권이 사회적경제기업에 4017억원의 자금을 공급했다고 밝혔다.
사회적경제기업은 취약계층에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며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을 비롯해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이 이에 속한다. 공익적 가치를 실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든다는 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경영적 측면에서 전문성이 미흡한데다 대부분 업력이 짧아 대출 등을 통한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다. 금융위는 공공부문을 통한 자금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 사회적금융 생태계 조성성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올해 공공부문을 통해 323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는 목표다. 대출(376억원)과 보증(1470억원), 투자(246억원)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함에 따라 상반기에만 지난해 지원금액 1937억원을 넘어섰다. 1144개사에 2102억원이 집행, 목표액의 65.1%를 달성했다.

공공부문의 움직임에 따라 은행권도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확대했다. 지난해 상반기 지원실적(1718억원) 보다 11.5% 늘어난 1915억원을 공급했다. 은행별로는 IBK기업은행이 511억원이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427억원, KEB하나은행 248억원, 우리은행 209억원, NH농협은행 163억원, KB국민은행 147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지방은행에서는 경남은행이 125억원을 공급, 가장 두드러졌고 대구은행 43억원, 부산은행 16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 유형을 살펴보면, 사회적기업 대상 지원이 1414억원(73.8%)으로 가장 많았고, 협동조합(405억원), 마을기업(69억원), 자활기업(27억원) 순이었다. 자금 지원방식으로는 대출이 1868억원(97.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 밖ㅇ[ 기부·후원 25억원(1.3%), 제품구매 17억원(0.9%), 출자 5억원(0.2%) 등이 이뤄졌다.

금융위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새마을금고를 통한 신규 대출상품 출시, 한국성장금융·한국벤처투자를 통한사회투자펀드 집행 등을 통해 하반기에도 꾸준히 자금 공금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도 구축하기로 했다. 정보 부족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이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었다. 우선 이달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 공공 또는 민간의 자금을 사회적경제기업에 전대(轉貸), 투자, 컨설팅해주는 사회적금융중개기관DB를 공개한다. 또 3분기에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실제 사업수행여부, 재무상황, 신용정보 등을 점검할 수 있는 회적경제기업DB를 공개할 예정이다.
변윤재 기자 ksen@k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