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미래를 위한 대학입시 개혁 최종보고회 개최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은 16일 ‘대입제도 개편 방안 정책연구 최종보고회’를 열고 대입 개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보고회는 대입제도의 현실적인 개혁 방안을 논의하고, 학생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대입개혁 전담기구(TF) 위원, 도교육청 관계자, 현장 교사 등이 참석했다. 연구책임자인 성균관대 배상훈 교수는 발표를 통해 대입제도 개편의 원칙으로 ▲선발 관점 재정립 ▲평가 방식의 전환 ▲공교육 혁신 ▲사회문제 해결 기여 ▲대학의 역할 변화 등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수능의 영향력 축소와 학생부 중심의 대입전형 전환, 수시·정시 통합 방안, 대학의 자율성 보장을 언급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현장 전문가들이 대입 개혁과 공교육 정상화를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경기교사노동조합 김희정 대변인은 교사가 개혁의 대상이 아니라 동반자라는 점을 강조했고, 동탄고 유영숙 교사는 경기도교육청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실시간 댓글과 질의응답을 통해 대입 개혁에 공감하며, 정책 실행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임 교육감은 “대입제도는 미래 교육의 가장 큰 장애물”이라며, “현실적인 개혁안을 통해 공교육이 정상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교육위원회와 협력해 개혁안을 제안하고,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대학입시개혁,대입제도,공교육 정상화,학생 역량,임태희 교육감,정책연구,수능 축소,학생부 전형,교육개혁